◆ 태열과 아토피
태열은 생후 1~2주부터 특별한 원인 없이 얼굴, 몸 등에 좁쌀모양의 붉은색 구진과 홍반 등이 생기는 질환을 말한다.
가려움이 심해 아이가 자주 비벼서 상처와 진물이 생길 수 있다.
태열은 증상이 나타난 이후 8~10주 이내에 자연스럽게 좋아지는데 만성적으로 반복되면서 다른 아토피 질환증상을 함께 보이면 아토피성 피부염으로 진단하게 된다.
미적 요소 때문에 착용한 가슴 압박 속옷이나 옷 등은 아이가 물어야 유두를 물러지게 한다.
산전에 유방상태 점검, 문제점을 인지하고 대비책을 찾아야 한다.
◆ 신생아 여드름
신생아에게 생기는 여드름은 유전적 소인이 있으면서 피지선에 대한 호르몬의 자극 결과에 의해 생기는 것으로 본다.
주로 하얀 구진 속에 피지가 보이는 증상으로 나타난다.
대개는 수주 이내에 자연스럽게 사라지므로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주의해야 할 점은 아이가 긁거나 엄마가 피지를 제거하기 위해 짜는 등의 자극을 최소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너무 과한 보습은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삼가야 한다.
◆ 지루성 피부염
지루성 피부염은 정확한 원인이 알려져 있지 않으나 신생아 여드름이 선행되는 경우가 많다.
생후 2~6주에 시작돼 치료하지 않으면 몇 개월 지속되기도 한다.
주로 두피, 얼굴, 귀 뒤, 사타구니 등에 발생하고 가렵지는 않지만 기름이 있는 누런색의 인설과 홍반이 동반된다.
머리의 경우 충분히 두피를 물에 불린 후 비듬 샴푸를 1주일에 2~3번, 일반샴푸를 매일 사용하면 대체적으로 호전된다.
샤워 후에는 물기를 잘 말리고 통풍이 잘 되는 면소재의 옷을 입히는 것이 중요하다.
♠ 신생아 피부 관리법 ♠
잦은 목욕은 지나치게 피지를 제거하고피부의 산성도를 떨어뜨리므로 하루에 한 번이 적당하다.
뜨거운 물은 수분의 증발속도를 가속화시키므로 미지근한 물을 사용하고, 목욕 후에는 피부 물기가 증발하기 전에 보습제를 발라준다.
방향제, 방부제 등을 함유한 피부 제품은 삼간다.
동물의 털, 담배 연기 등도 피부에 자극을 주므로 되도록 피하는 것이 좋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아산통 (0) | 2015.12.10 |
---|---|
주의해야 할 신생아 이상반응은? (0) | 2015.12.09 |
아이가 열날 때 우선적으로 할 일은 ? (0) | 2015.12.07 |
공포의 ‘사카자키균’ 퇴치법 (0) | 2015.12.02 |
어린이 폐렴 환자 '급증' (0) | 2015.1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