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감자 

비염, 천식, 두드러기, 습진 등의 알레르기성 체질의 아이들은 평소 칼륨을 많이 먹어야 합니다.

칼륨이 알레르기성 체질의 균형을 잡아 주기 때문인데 바로 이 칼륨이 풍부하게 들어 있는 식품, 감자는 칼륨 함유량이 밥의 16배나 됩니다.

또 감자 속의 칼륨은 현기증 치료에도 효과가 있습다.

이 외에도 정장 효과가 뛰어난 감자는 변비예방과 치료에 도움을 줍니다.

해충이나 기생충 따위를 없애주는 구충작용과 독기를 풀어 주는 해독작용도 가지고 있으며 침의 산성화를 막아주어 아이들의 충치예방에도 효과적입니다.

감자를 많이 먹는 지역에는 상대적으로 치과질환이 적다는 조사보고도 있습니다.

감자를 이용해 감자밥, 감자경단, 감자전, 감자수프 등 평소 다양한 요리를 만들어 아이들에게 주는 것도 좋습니다.


◎ 가지 

가지에는 비타민은 적지만 칼슘, 철분 등 미네랄이 풍부하게 들어있습니다.

땀띠, 사마귀, 티눈 등에는 익히지 않은 가지를 썰어 문지르고, 티눈이 있을 때는 잘라낸 꼭지로 문지르면 됩니다.

무엇보다 가지는 단것을 좋아하는 어린이의 구강 계통의 질병을 치료하는 약으로 이용해 볼 만합니다.

구내염에는 그늘에 말린 가지를 진하게 달인 뒤 굵은 소금을 넣고 하루에 두세번 가량 양치질을 하면 가라앉습니다.

또는 알루미늄호일에 가지를 싸서 까맣게 될 때까지 구워 가루로 낸 다음 꿀을 섞어 구내염 환부에 발라도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충치 때문에 이가 썩고 통증이 있을 때는 가지꼭지를 진하게 달여 그물로 양치질을 하거나 햇볕에 바짝 말린 가지꼭지를 가루로 내어 충치 부위에 발라도 됩니다.

그러나 가지는 찬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기침이 잦은 아이는 피해야 합니다.


◎ 오이 

미네랄이 풍부해서 피를 맑게 해주는 작용을 합니다.

생 오이는 몸을 차게 식혀주는 효과가 있어 열이 많은 아이들에게 좋은 식품입니다.

특히 피부표면의 열을 없애주므로 부스럼이나 땀띠 등의 피부병을 자주 앓는 아이들에게 효과적 입니다.

아이가 땀띠로 고생을 할 때는 오이즙을 내서 땀띠가 난 부위에 가볍게 두드리듯 발라주면 피부표면의 열을 없애 땀띠를 낫게 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익힌 오이는 이뇨효과, 해독작용이 있습니다.

열이 나면서 설사를 하는 아이에게는 익힌 오이를 꿀에 발라 먹이면 진정됩니다.

그러나 오이는 몸을 차게 하는 작용이 있는 만큼 많이 먹이면 배를 차게 하므로 오히려 역효과가 날 수도 있어 주의를 해야 합니다.


◎ 호박 

열을 내려주고 설사를 멎게 해주며 이뇨작용을 도와줍니다.

이런 해독작용 외에도 구충작용과 약물중독 치료제로 이용됩니다.

구충제로 이용할 때에는 호박을 날로 얇게 저며 아이에게 먹이면 가벼운 설사를 하는데 이때 체내의 기생충을 배출 시킵니다.

또 호박씨를 진하게 달여 먹여도 같은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또 백일해를 앓는 아이에게도 좋은 약이 되며, 목이 아플 때는 말린 호박씨에 각설탕을 넣고 졸여서 마시면 통증을 진정시킵니다.


◎ 콩제품 

콩은 단백질과 지방이 풍부한 영양식품.

콩에 들어있는 레시틴은 뇌의 30%나 들어있어 신경질 적이고 짜증을 잘내는 아이에게는 좋은 식품입니다.

콩을 이용한 두유는 코의 유효성분을 모두 소화되기 쉬운 모양으로 만든 것으로 이 두유를 미지근하게 데워 잠자기 전에 먹이면 쉽게 잘 수 있습니다.

또 콩을 가공한 두부는 지방을 줄이는 성분이 있어서 비만을 예방하거나 성장 중에 지나치게 비만인 아이들에게 적합한 식품입니다.

특히 소아비만은 소아성인병의 이유가 되기도 하므로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데, 두부에는 리놀산이 듬뿍 들어있어 콜레스테롤치를 낮춰주는 작용을 합니다.

특히 두부는 열을 내려주고 염증을 가라 앉혀주는 찜질약으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얼음보다 더 효과적이므로 아이가 열이 심할 때 사용해 보는 것도 좋겠습니다.

두부찜질약-두부를 헝겊으로 싸서 물기를 꼭 짠다음 곱게 으깨서 밀가루와 섞어 반죽을 만듭니다.

이것을 1cm정도의 두께로 펴서 거즈에 싼 다음 열이 오른 아이의 이마에 얹어줍니다.


◎ 사과 

사과에 풍부하게 들어있는 펙틴은 장 속에서 유산균의 발효를 돕고 대장균의 번식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으므로 설사를 멎게 하는데 특효약입니다.

소화불량으로 인해 설사를 하는 아이에게는 사과즙을 먹이면 좋지만 가스가 쉽게 차는 아이에게는 너무 많이 먹이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 배 

감기나 편도선염에 의한 갈증이나 통증을 진정시키는 약효가 있습니다.

강판에 배를 갈아 즙을 내서 먹이는 것도 열로 인한 갈증해소에 좋으며, 익힌 배는 천식발작이 심해 기침을 심하게 하거나 가래가 나올 때 먹으면 기침이나 가래를 진정시키는 작용을 합니다 

:

임신을 원하는 여성이나 임산부라면 카페인 섭취를 줄여야 합니다.

특히 하루에 300 밀리그램(커피 3잔과 맞먹음) 이상의 카페인을 섭취하고 있다면 건강한 태아를 출산하기 위해 반드시 카페인을 끊어야 합니다.


최근의 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300 밀리그램 이상의 카페인은 임신할 가능성을 27% 감소시킬 수 있다고 합니다.

또 하루에 100-200mg정도(한두 잔의 커피나 2~4잔의 콜라에 해당함)를 섭취한다면 임신 가능성이 10% 감소한다고 합니다.

어떤 연구결과는 하루에 400 mg이상 섭취하면 유산과 선천적 결손증에 대한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경고하기도 합니다.


카페인은 임신전후 필요한 두 가지 중요 미네랄인 철분과 칼슘을 흡수하는 신체 기능을 저하시키는 작용을 하며 이는 임신 초기에 태아에게 충분한 영양소가 전달되는 것을 막는 것 입니다.

한편 카페인 섭취를 단번에 끊게 되면 피로, 무기력, 두통 같은 섭취 중단 징후가 올 수 있으므로 조금씩 줄여나가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카페인이 다량 함유된 식품으로는 커피 외에도 차, 소다수, 초콜릿, 코코아 그리고 쉽게 살수 있는 의약품에도 함유되어 있습니다.

'임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산과 임신 가능성  (0) 2013.08.08
낙태경험과 임신가능성  (0) 2013.08.06
임신,수유부를 위한 식생활 실천지침  (0) 2013.07.31
산후 우울증  (0) 2013.07.23
조산  (0) 2013.06.19
:

유아기에 철분이 부족한 어린이는 비록 조기에 치료된다 하더라도 뇌 발달장애를 가지고 자랄 위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시건 대학의 Betsy Lozoff 박사팀은 코스타리카 10대 185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에서 철분부족이 가장 심한 아이들의 경우 학습능력, 기억력 및 사고력이 조기 치료를 해도 회복되지 않으며, 심한 경우 이러한 증상이 나이가 듦에 따라 더욱 악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Archives of Pediatrics and Adolescent Medicine에 게재되었으며, 유아기 초기 영양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Lozoff 박사는 “소아철분 부족이 뇌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영향으로 인해 기본적인 발달과정을 교란하거나 지연시킨다면, 눈덩이 효과(snowball effect)가 될 수도 있다”고 하였다.


연구팀은 미국국립보건원의 후원으로 1년 전부터 어린이 185명을 대상으로 연구시작 할 때 아이들의 철분결핍증상에 대해 선별검사를 하고, 기억력, 사고력 및 학습능력에 대한 나이별 인지능력 검사를 정기적으로 실시하였다.

철분 수치가 낮은 어린이들 (빈혈을 진단받은 최악의 경우)에게 철분 보조제를  주었으나, 철분 수치는 정상으로 돌아오지 않았다.


연구팀은 만성 철결핍증을 가진 53명의 어린이와 정상 어린이 132명을 비교하였다. 보통가정의 어린이 중에서 인지능력에 대한 격차는 분명히 구분된다. 그러나 낮은 사회경제적 상태의 가족에게 정신적인 부담은 2배로 증가하며, 격차는 유아기에 10 포인트부터 19세에 25 포인트까지 충분하게 벌어진다.

전 세계 어린이들의 약 1/4이 철 결핍으로 인한 적혈구에 문제가 있어 나타나는 철 결핍성 빈혈을 가지고 있으며, 조기 치료가 필수적이라고 연구팀은 강조하였다.

두 번째 연구에서 1살 때부터 우유병에 담긴 우유를 먹은 어린이는 컵에다 우유를 먹은 같은 연령의 어린이 보다 철결핍이 더 관찰되었다.


토론토 대학 Trenna Sutcliffe 박사팀은 12-38개월 사이의 우유를 먹고 자란 150명의 건강한 소아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우유병에 담긴 우유를 먹고 자란  어린이 37%와 컵에 담긴 우유를 먹고 자란 아이들의 18%에서 적정 철분수치에 미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팀은 우유를 병에 담아 마시게 하는 것이 철분이 풍부한 식품이나 쥬스의 섭취나 흡수를 저해할 수 있는 우유의 과잉섭취를 하는 수단으로 작용한다고 하였다.

:


세계보건기구는 적어도 두 돌까지는 모유를 먹이라고 권장하며, 미국 같은 선진국에서는 네 돌까지 모유를 먹이기도 한다. 중요한 것은 모유를 주식으로 먹이는 게 아니라, 생후 4개월 이상부터는 이유식을 겸하고 돌 이후에는 모유를 ‘간식’처럼 먹인다는 점이다. 1년 이상 모유만 먹이면 영양 불균형이나 결핍으로 문제가 될 수 있다. 

100% 모유수유를 하는 아이에게 가장 부족한 영양소는 바로 비타민 D. 체내에 비타민 D가 충분하지 못하면 섭취한 칼슘이 제대로 흡수되지 않아 뼈가 약해지고 성장 발달에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뼈의 주성분이 되는 칼슘이 정상적으로 침착되지 않아 구루병이나 O자형 다리 등 증상을 보일 수 있다. 시판 조제분유는 비타민 D를 강화했지만 모유에는 소량밖에 들어 있지 않아 따로 보충이 필요하다. 

생후 4개월부터 이유식을 시작해 음식물로 비타민 D를 보충하고, 햇빛을 쬐어 체내 비타민 D 합성을 촉진하는 것이 결핍을 예방하는 가장 좋은 방법. 또 7개월 이후부터는 달걀노른자, 두 돌 이후부터는 버섯이나 고등어 등 비타민 D가 풍부한 식품을 챙겨 먹인다. 일주일에 2~3번 정도 산책을 하며 햇빛을 쬐는 것도 중요하다.

아연은 정상적인 단백질 합성과 성장에 필수적인 영양소다. 아연이 부족할 경우 성장 지연뿐 아니라 식욕 감퇴, 면역력 기능 저하 등 문제가 발생한다.

모유의 아연 함량은 철분 함량보다 높지만 출산 후 6개월이 지나면 그 양이 현저하게 줄어든다.

생후 6개월 이후부터는 모유만으로 아연을 충분히 섭취할 수 없으므로 아연이 풍부한 굴, 콩, 김 등으로 이유식을 만들어 먹여 보충해야 한다.

모유에는 칼륨, 칼슘, 인 등의 다량 무기질은 충분히 들어 있지만 철, 구리, 아연, 망간 등 미량 무기질의 함량은 낮다.

생후 4~5개월 이후부터 성장이 급격히 이루어지면서 혈액의 양이 증가하고 체내에 저장된 철분을 거의 소진한 상태라 아이 몸에 필요한 철분을 모유만으로는 공급할 수 없게 된다.

소고기, 닭고기 같은 육류를 통해 철분을 공급해줘야 한다. 

철분 섭취는 식품에 들어 있는 철 함량뿐 아니라 체내 흡수율도 고려해야 하는데, 육류에 포함된 철분은 식물성 식품에 포함된 철분보다 흡수율이 높다.


'육아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유아의 치아 관리  (0) 2013.02.04
아이 일찍 재우는 방법  (0) 2013.01.17
6~12개월 아기 재우기  (0) 2013.01.08
아기 건강검진  (0) 2013.01.07
아기의 다리와 발  (0) 2013.01.07
:

고기와 생선

2012. 9. 12. 09:32

단백질, 비타민, 철분의 주공급원이며  6개월 이후에 주는데 곱게 다져서 다른 음식과 섞어서 준다. 

닭고기는 쇠고기보다 소화가 잘되고  쇠간은 철분이 풍부하다. 

생선은 육류보다 부드럽고 소화가 잘 된다. 

소시지나 햄 등은 식품첨가물과 염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좋지 않다. 

6개월부터 고기국(살고기만 푹 고운 국)부터 갈은 고기와 쇠간을 시작할 수 있으며 8-9 개월에는 양을 늘린다.

갈은 고기는 상하기 쉬우므로 1-2 일 이내 사용한다. 

갈은 고기를 한번 더 다지면 부드럽다.  

만  2세까지는 지방섭취를 제한하지 않는다. 

성장과 발육에 중점을 두어 적절한 균형잡힌 식사를 해야 하며 바람직한 습관은 영유아기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이유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식 알러지  (0) 2012.12.05
우유병은 언제까지 사용하나?  (0) 2012.09.13
보충식에서 조심해야 할 음식  (0) 2012.09.12
계란  (0) 2012.09.10
요쿠르트  (0) 2012.09.10
:

계란

2012. 9. 10. 15:00

흰자는 아미노산이 많고 노른자는 철분, 비타민이 많다. 

유화지방으로 소화가 잘된다. 

이유초기 6개월부터 노른자만 완숙하여 조금씩 분유나 물에 으깨어 먹인다. 

흰자는 일찍부터 먹이면 알러지가 증가한다는 말도 있어서 12개월이 지나서 먹이는 것이 좋다. 

일주일에 3-4개 정도가 적당하다. 

계란이 알러지를 잘 일으키는 음식이라는 것이 밝혀지면, 나이가 생우유 시작하는 나이와 더불어 점점 더 늦어지고 있다.


'이유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기와 생선  (0) 2012.09.12
보충식에서 조심해야 할 음식  (0) 2012.09.12
요쿠르트  (0) 2012.09.10
보충식과 변  (0) 2012.09.10
보충식조리의 주의사항  (0) 2012.09.07
:

BLOG main image
by 건강텔링

공지사항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631)
육아상식 (94)
수유 (41)
임신 (67)
이유식 (28)
질병 (42)
건강 (204)
교육 (102)
기타 (52)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글 보관함

달력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Total :
Today : Yesterda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