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잠을 충분히 재운다.
잠을 못 자면 일단 아이들은 피로를 풀 길이 없다. 특히 이 시기 아이들은 어느 때보 다 움직임이 활발하므로 잠을 잘 못 자면 칭얼대고 보챈다. 잠을 못자면 스트레스 호르몬이 증가하는데, 스트레스 호르몬은 면역력을 떨어뜨리는 아주 주요한 요인 중 하나다. 따라서 13~24개월 된 아이는 최소한 13시간 이상은 재워야 한다. 특히 아이들이 7시간 이하로 자는 경우에는 행동장애를 초래하고 면역력을 떨어뜨릴 확률이 높으므로 면역력을 높이려면 무엇보다 잠을 잘 재우는 데 신경 써야 한다.
2. 전자파에서 멀리한다.
전자파에 대해서는 아직 이렇다 할 유해성이 확립되지는 않았지만 몇몇 연구들은 전자파가 해롭다는 증거를 속속 내놓고 있다. 미국 존 스홉킨스대학의 마타노스키 박사는 전자파가 인체 세 포 내의 DNA와 RNA의 기능을 방해하고 면역력을 감소시켜 암, 유산, 신경통 등의 질병을 일으킨다고 주장한다. 또한 전자파에 노출된 부모를 둔 자녀의 뇌암 사망률이 2배가 높고, 전력선 주위에 사는 어린이의 백혈병 발병률이 2~3배 높다는 보고도 있다. 따라서 전자파가 아이를 피로하게 하고 면역력을 떨어뜨린다는 것은 거의 확실하다. 전자파를 피하기 위해서는 아이방에 컴퓨터를 두는 것을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다. 또한 텔레비전, 진공청소기, 전자레인지 등은 전자파가 많이 나오는 가전제품이므로 아이 손에 닿지 않게 한다. 명심할 것은 항상 플러그를 뽑아두는 것. 전원을 꺼도 플러그가 콘센트에 연결되어 있으면 전자파가 나오기 때문이다.
3. 또래 아이들과 놀게 한다.
아이들이 돌을 지나고 아장아장 걷기 시작하면 놀이터에 자주 나가 다른 아이들을 사귀게 된다. 다른 아이들과 더불어 사는 것을 배우는 일은 13~24개월 된 아이에게는 하나의 도전이므로 격려해주어야 한다. 다른 사람들과 함께 자란 아이들이 면역력이 높다. 그러므로 이때부터 또래의 다른 아이들과 같이 지내는 시간을 의도적으로 늘릴 필요가 있다.
4. 틈나는 대로 피부 마사지를 해준다.
마이애미주립대 학 한 연구소의 보고에 의하면 엄마가 애정 어린 손길로 마사지를 해준 아이들은 그렇지 않은 아이보다 몸무게가 훨씬 빨리 늘며, 면역력이 증가되고, 정서적 안정과 숙면을 취했다고 한다. 또 다른 연구는 고아원 에서 자란 아이들이 충분한 영양을 섭취했는데도 불구하고 평균 신장이 또래보다 작았다고 한다. 마사지와 같은 스킨십은 면역력을 떨어뜨리는 코티졸을 저하시키기 때문이다. 따라서 아이를 눕혀두고 배나 등을 손으로 문질러주는 것은 정서적 안정뿐 아니라 건강에도 좋다.
5. 충분히 일광욕을 한다.
요즘 자외선에 대한 위험성이 알려지면서 아이에게도 자외선 차단제를 듬뿍 발라주 는 엄마가 많아졌다. 그러나 얼마 전 우리나라 사람들이 비타민 D가 부족할 정도로 지나치게 햇볕을 싫어한다는 기사가 나왔다. 햇볕을 쬐면 인체 내에서 자체 생성되는 비타민 D는 성장기 아이의 뼈와 치아 발육을 돕고 면역력을 높인다. 따라서 평소 일광욕을 통해 피부를 단련시켜두면 감기나 알레르기 질환에 잘 걸리지 않는다. 일광욕에 가장 좋은 시간은 오전 10시에서 12시 사이이므로 이 때 아이와 함께 밖에 나가 놀자. 바람이 많이 불거나 너무 추워 바깥 운동을 할 수 없는 날에는 베란다에서 일광욕을 시켜주는 것도 방법이다.
6. DHA가 풍부한 등 푸른 생선을 먹인다.
DHA는 인간의 뇌를 구성하는 가장 기초적인 성분으로 두뇌 활동을 원활하게 해주며 면역력을 키워준다. 그런데 문제는 DHA가 체내에서 저절로 만들어지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 때문에 꼭 음식물로 섭취해주어야 한다. 정어리, 가다랭이, 참치, 빙어, 고등어 등의 등 푸른 생선에 DHA가 많이 함유되어 있다.
7. 섬유질이 풍부한 음식을 먹인다.
면역력이 떨어지면 암이 잘 생기고 성인병에 잘 걸리며, 그로 인한 사망률도 높아진다. 그런데 섬유질은 각종 발암물질과 중 금속, 콜레스테롤 등 성인병을 일으키는 나쁜 요소를 배설시키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아이들의 미래를 위 해서 어릴 때부터 섬유질을 잊지 않고 챙겨주는 것이 좋다. 섬유질은 단연 곡물의 껍질에 많이 함유되어 있 다. 흰쌀보다는 기장, 통보리, 콩, 팥, 조, 수수, 율무 등의 잡곡을 먹인다. 또 다시마, 파래, 말린 무청, 솔잎 등에도 섬유질이 많으므로 위와 같은 재료를 이용하여 식단을 짠다.
8. 비타민이 풍부한 채소를 많이 먹인다.
비타민과 미네랄은 우리 몸이 각종 영양소를 흡수할 수 있게 돕는 효소를 만드는 데 중요할 뿐 아니라 면역력도 높인다. 때문에 비타민과 미네랄을 충분히 먹지 않으면 아무리 영양가 높은 음식을 먹어도 면역력이 높아질 수 없다. 비타민과 미네랄은 음식에서 섭취하는 것이 가장 좋으므로 채소를 꾸준히 먹인다.
9. 아이가 스트레스를 받는 것 같다면 견과류를 먹인다.
호두, 잣, 땅콩 등의 견과류에는 필수 지방산, 단백질 , 미네랄, 비타민 등의 풍부한 영양소가 담겨 있다. 이들 견과류의 성분은 세포막, 성 호르몬, 국소 호르 몬을 구성하며 스트레스에 대항할 수 있는 면역력을 키우는 데 도움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