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분증이란?
대변을 가려야 할 나이(에 적절치 못한 장소에 대변을 보는 것을 말합니다.
주로 기침을 하거나 크게 웃거나 웅크리고 앉는 등 복압이 올라가는 행동을 하면 변을 조금씩 지립니다.
영아기부터 지속되면 일차성이라고 하고 일정기간동안을 대변을 가리다가 다시 가리지 못하는 경우를 퇴행성 또는 이차성이라고 합니다.
[원인]
기질적은 질병이 원인이 되는 경우는 극히 드뭅니다.
대개 만성 변비나 대변의 매복(대변이 대장에 차서 딱딱하게 굳어 있음), 또는 대변량이 많아서 그런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심리적 측면 유분증이 있는 아이들은 무의식적인 분노와 반항심을 갖고 있을 때가 많고, 반면 부모는 보복적 혹은 징벌의 방법을 쓰기도 합니다.
아이들은 학교나 유치원에서 놀림이나 따돌림을 당하고 이차적으로 출석률이 떨어지고 성적이 나빠지기도 합니다.
[치료]
주로 만성변비가 원인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1. 직장에 있는 딱딱한 대변을 제거 하는것
2. 다시 대변이 차는것을 막아 주는것
3. 규칙적인 배변 습관을 가지도록 하는것
4. 환아 및 부모의 정서적인 문제가 있을 때에는 정신과적인 자문을 받을수 있다.
이차적 유분증은 대부분 변비로 인해 발생하기 때문에 섬유질 섭취나 배, 자두 등의 과일을 많이 먹고 필요하면 소아과에서 변비약을 처방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화장실에 가기가 두려하는 아이들과 또 규칙적인 배변 습관을 위해 매일 일정한 시간에 주로( 아침에) 아이들은 변기에 앉혀서 부모님이 동화책도 읽어 주고 재미있는 이야기도 해 주어 두려움을 없애 주어야 합니다.
일차성인 경우는 치료하기가 더 어렵고 아이를 이해하는 방향으로 하는 것이 좋으나 아이와 가족의 심리치료가 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뇨기과 전문의 54% “갓난아이 포경수술 마세요 (1) | 2014.07.18 |
---|---|
이온음료 만드는 법과 간단한 설사 치료법 (2) | 2014.07.15 |
유아 빈혈 예방을 위한 식생활 가이드 (0) | 2014.07.11 |
우리아이 여름 선글라스 (0) | 2014.07.11 |
소아빈혈 (0) | 2014.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