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상태 파악하기


열이 어느 정도 나더라도 잘 놀고 상태가 좋으면 급하게 응급실을 갈 필요가 없다.

그러나 백일 이하 아기라면 38도 이상 열이 날 때 빨리 병원에 가는 것이 좋다.

두통과 구토가 있다면 뇌수막염이 의심되니 빨리 응급실을 가는 것이 좋다.

또 소변을 6시간 이상 보지 않는 등 탈수 증상이 의심되면 수액 치료를 받아야 한다.

그러나 아이 상태가 괜찮으면 밤새 해열제를 먹이면서 지켜보고 다음날 소아과를 가면 된다.


2. 해열제 투여


해열제를 먹이는 기준은 38.5 도 이상이거나 38도 이상이면서 아이가 보채거나 처지는 경우다.

잘 놀면 39도까지는 안 줘도 되기는 하나, 대개 그러다가 갑자기 열이 치솟거나 탈수가 와버리는 경우도 많아서 주의해야 한다.


해열제 용량은 종류에 상관없이 체중의 40% 정도 투여하면 되고 39.5 도 이상의 고열에서는 50% 를 먹이면 된다.

아이 체중이 10kg이면 4ml, 15kg이면 6ml 정도가 좋다.

해열제는 기본적으로 한가지를 4-5 시간마다 투여한다.


그리고 중간중간 2시간째 열을 재서 38.5도 이상이거나 38도 이상이면서 보채거나 처지면 다른 종류 해열제를 교차복용하면 된다.

해열제 하루 허용량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한데 체중x2.3 정도가 하루 허용량이다.

 

3. 탈수 예방과 교정


해열제를 먹였다면 엄마가 가장 신경 써야 하는 부분이 탈수 예방과 교정이다.

해열제를 먹이고 많은 엄마들이 미온수 마사지를 하느라 진을 빼지만 미온수 마사지보다 중요한 것이 탈수 예방, 교정이다. 


아이에게 틈나는대로 물을 끊임 없이 먹이면 탈수를 예방하고 탈수열을 예방할 수 있다.

체온이 1도 오를때 10%의 수분이 더 필요하다.

탈수가 이미 온 경우라면 이온음료나 탈수 교정 음료(페디라 등) 을 먹이는 것이 좋다.


4. 보조적인 방법


많은 엄마들이 인터넷을 보고 미온수 마사지를 열심히 하는데 생각보다 효과가 크지 않다.

열 내리는 것은 해열제에 맡기고 엄마는 아이의 탈수 예방과 관리에 전념하는 것이 좋다.

미열일 때는 절대 미온수 마사지를 하지 말고, 고열에서 하더라도 일단 해열제를 먹인뒤 최소 30분 뒤, 보통은 1시간 후 체온이 내려가지 않을 때 하는 것이 좋다.

미온수 마사지를 하다가 오한이 생기면 열이 더 오르기 때문에 주의해야 하며, 같은 이유로 팔다리 등 사지 부분은 하지 않아야 한다.

오한이 생긴 경우 몸을 따뜻하게 해줘야 한다. 실내 온도는 24~5도 정도를 유지하는 것이 좋고, 아이에게 얇은 옷을 입히는 것이 다 벗기는 것보다 좋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의해야 할 신생아 이상반응은?  (0) 2015.12.09
신생아 피부 트러블 관리법  (0) 2015.12.08
공포의 ‘사카자키균’ 퇴치법  (0) 2015.12.02
어린이 폐렴 환자 '급증'  (0) 2015.11.26
어린이 해열제  (0) 2015.11.25
:
BLOG main image
by 건강텔링

공지사항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631)
육아상식 (94)
수유 (41)
임신 (67)
이유식 (28)
질병 (42)
건강 (204)
교육 (102)
기타 (52)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글 보관함

달력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Total :
Today : Yesterda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