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운 일곱 살, 미운 두 살’ 생떼가 심한 아이를 어떻게 처리해야 할지 모르는 부모들의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맞벌이 부부인 김씨의 아들 응석이(3세ㆍ가명)는 낮 동안에 할머니가 보살펴 주면서 생떼가 늘었다.

할머니가 아이가 원하는 것을 다 받아줬기 때문이다.

하루 이틀 시간이 지나면서 응석이가 원하는 게 많아질 수록 떼를 쓰는 횟수도 늘어만 갔다.

안된다고 하면 고집을 부리거나 큰 소리를 지르며 물건을 집어 던지는 과격한 행동까지 보였다.

울고 떼를 쓰면 원하는 것을 얻게 될 것으로 생각하는 응석이 때문에 김씨 부부와 할머니는 심한 마음고생을 하다 결국 소아정신과를 찾게 됐다.

아이들의 이런 행동을 심리학 용어로 ‘분노발작’이라 한다.

분노 발작은 생후 만 1세에서 4세 사이의 어린 아동들이 흔히 보이는 분노 감정에 대한 정상 반응이며, 자신의 자유 의지와 독립을 지키려는 가장 원시적인 의사 표시 행동이다.


분노발작은 걸음마기 아동들이 태어나서 처음으로 경험하는 배신감의 표현이기도 하다.

출생 후 첫 1년 동안 부모의 전적인 보살핌을 받으며 울기만 하면 원하는 것을 얻었던 아이에게 어느 날부터 시작된 부모의 ‘안돼’라는 거절과 통제에 당황스러움과 함께 심한 분노와 배신감을 느낀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분노발작이 문제가 되는 것은 5세가 넘어서도 어른에 대한 반항과 무례함으로 이어져 청소년기 비행의 원인까지 확대될 수 있다는 것.


부모들의 적절한 대처방안에는 아이들 행동의 의미를 부모가 이해하고, 분노 발작을 지속시키거나 강화 시키는 부모의 반응을 수정하는 것에서 시작해야 한다. 

어린 연령의 아동들에게 지루함, 피곤함, 배고픔, 질병 등은 좌절에 대한 아동의 인내심을 떨어뜨려 분노 발작을 보이기 쉽다.

부모가 평정을 잃고 분노 폭발이나 감정적 체벌을 할 경우, 아동에게 분노 발작의 또 다른 행동 모델이 되고, 부모에 대한 존경심을 잃게 돼 아동의 자긍심 발달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


“우리 아이는 울거나 떼를 쓰면 얼굴이 새파래질 때까지 하다 넘어가요”라고 말하는 부모들이 종종 있다.

아이들은 아장아장 걸을 때쯤부터 자신의 방식대로 일이 되지 않으면 떼를 쓰고 화를 내기 시작하는데, 이를 의학용어로 ‘분노 발작’이라 한다.


이런 아이를 다루는 원칙은 두 가지.

첫째는 분노발작을 통해 아이가 이익을 얻도록 내버려두지 말아야 하며, 

둘째는 분노발작을 좋지 못한 ‘공연’을 보는 것쯤으로 생각해야 하는 것이다.

이렇게 해서 분노발작을 일으키는 아이로 하여금 자신의 역할을 다시 생각해 보도록 해야 한다.


분노발작의 여러 형태에 대해선 다음과 같이 반응하는 게 좋다.

먼저 아이가 어떤 일에 좌절해 떼를 쓴다면 도와줘야 한다.

부모가 자기 얘기를 알아듣지 못하거나, 혼자 힘으로 숙제를 못할 때 좌절하게 된다.

이 때문에 떼를 쓴다면 아이 어깨에 팔을 얹고 “내가 도와줄 일이 없니”하고 말하면서 들어주고 포기하지 않도록 격려해 줘야 한다.

그러나 주의를 끌려고 하거나 무엇인가를 요구하기 위해 떼를 쓸 때는 무시해야 한다.

아이들은 자신의 주장을 관철하기 위해 떼를 부리는 경우가 많다.

밖으로 나가고 싶거나, 사탕을 먹고 싶거나, 서랍장에 있는 무엇을 꺼내고 싶어 떼를 쓴다.

또 주의를 끌려고 소리내어 울거나, 마루나 벽을 치며, 문을 꽝하고 닫거나, 숨을 멈추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이런 아이의 욕구에 굴복해선 안 된다.

자기 스스로 떼 쓰는 게 필요 없다는 걸 느낄 때까지 무시하는 게 좋다.

떼를 쓰며 주위 사람을 때리거나, 심하게 소리치거나, 물건을 던지거나 부수는 등의 파괴적인 행동을 한다면, 아이를 수분 동안 빈 방에 들여보낸 뒤 문을 잠가 나름대로 생각하는 시간을 주는 게 좋다.

이와 같은 ‘타임 아웃(time-out)’을 위한 장소로 나이 어린 아이는 놀이방이, 어느 정도 나이가 든 아이는 방이나 거실이 좋다.

그러나 아이가 완전히 자제력을 잃고 고함을 지르거나, 자해를 하려고 할 경우엔 팔을 붙잡고 제지해야 한다.

흥분해 날뛰는 아이의 팔 등을 1∼3분간 붙잡고 “화났다는 것을 안다”고 다독거려주면 효과가 있다.

:

BLOG main image
by 건강텔링

공지사항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631)
육아상식 (94)
수유 (41)
임신 (67)
이유식 (28)
질병 (42)
건강 (204)
교육 (102)
기타 (52)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글 보관함

달력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Total :
Today : Yesterda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