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이 어렸을 때 부모가 책을 많이 읽어주면서 키운 아이들은 나중에 커서도 확실히 다릅니다.
어린 시기를 잘 보낸 아이들은 독서 생활에 큰 문제가 없지만 이런저런 이유로 일을 소홀히 하며 키운 아이들은 아무래도 책에 취미를 붙이기가 어렵습니다.
독서는 습관이기 때문입니다.
습관처럼 책을 읽게 하려면 어린 시절에 하루도 빠뜨리지 말고 책을 읽어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어렸을 때 책을 읽어주는 것은 아이들의 마음에 저축을 해두는 것과 같습니다.
당장은 눈에 보이는 효과가 없어 보이지만 아이들 마음속에 저축이 되어 있다가 살면서 지혜가 필요한 순간에는 언제든지 꺼내 쓸 수 있기 때문이지요.
책 읽기에 기본 바탕이 되는 어휘력도 마찬가지입니다.
책을 많이 읽어보면 많은 어휘들을 저장해 두었다가 어느 순간에 말문이 터지면서 언제 그 많은 말들을 알아두었나 싶을 정도로 마구 쏟아내는 것이 아이들입니다.
또한 어려서 책을 읽어주면 듣는 힘을 길러줄 수 있습니다.
언뜻 생각하면 독서는 읽는 것만 중요한 것처럼 생각이 되지만 더 중요한 것은 듣는 독서입니다.
듣는 힘이 있어야 나중에 읽는 힘도 커지고 쓰는 힘도 커지기 때문입니다.
즉, 듣기 활동은 읽기나 말하기, 쓰기 활동을 위한 기초 언어훈련이 되기 때문에 아주 중요합니다.
아이들의 상상력을 키워주는 측면도 아주 중요하지요.
아이들의 감정은 아직 분화가 덜 되어 있습니다.
그런 아이들에게 책 속에서 펼쳐지는 세상은 환상을 체험하게 하기 때문에 아주 중요합니다.
부모가 펼쳐 보여주는 책을 보며, 귓전에서 들려오는 소리와 함께 아이들은 자기 나름대로 상상의 세계를 여행합니다.
이 상상력이야말로 모든 사고력의 근원이 되는 중요한 능력입니다.
마지막으로 아이들은 아직 선악의 개념이 뚜렷하게 서 있지 못합니다.
책을 볼 때 거의 모든 아이들은 착한 사람과 자신을 동일시하게 되는데 착한 사람이 마지막에는 결국 승리한다는 메시지를 읽으며 선악에 대한 판단 개념을 갖게 되는 것이지요.
이것은 세상을 살아가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메시지이며, 인성이나 바른 가치관을 갖게 하는 기본적이 교육이 됩니다.
더불어 책을 읽으면 좋아하는 부모의 모습을 보며 아이들은 ‘책이란 정말 좋은 것이구나’ 하는 무언의 교훈도 얻게 되며, 책을 읽어주고 듣는 동안의 정서적인 체험은 아이들을 편안하게 만들어 줍니다.
이런 안정된 정서가 세상을 살아가는 데 있어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리라는 것은 아주 자명한 일이지요.
그러면 아직 학교에 들어가지 않은 어린 아이들을 둔 가정에서 해야 할 일은 무엇일까요?
우선 독서 환경을 조성하는 일입니다.
집안 곳곳을 책으로 장식하는 것이 중요하지요.
거실이나 소파 위, 식탁 위에도 언제든지 손만 뻗으면 닿을 수 있도록 책을 마련해 두는 것이 필요합니다.
책장도 어느 한 곳에 고급스럽게 세워 두는 것보다는 작은 책장을 여러 개 마련하여 눈을 돌리면 책이 눈에 띌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화장실에도 책 한 권 두는 것을 잊지 마십시오.
물론 화장실에서 너무 오랜 시간 책을 보다가 변비가 생기는 일은 막아야겠지요.
두 번째는 아이들이 읽은 책을 그대로 보관하는 일입니다.
흔히 상급학교에 들어가면 어릴 때 보던 책은 필요가 없어졌다는 잘못된 판단으로 남에게 인심 쓰듯 주는 일이 많습니다.
그러나 책은 언제 어느 때 보느냐에 따라서 느낌이 다르고 얻을 수 있는 교훈도 다양합니다.
적어도 성인이 될 때까지 아이들이 본 책을 보관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들의 사고를 확장시키지만 잘못된 질문은 오히려 아이들의 사고를 축소시킬 수도 있습니다.
반복되는 똑같은 질문으로 아이들을 괴롭히지 말아야 합니다.
잘 읽었는지를 확인하고 싶은 욕심에 시시콜콜 내용에 대해 질문하다보면 심항 경우에 읽고 난 후에 쏟아질 질문에 두려움을 느껴서 책 읽기를 기피하는 경우도 생기게 됩니다.
읽고 나서 자기의 느낌을 그대로 전달할 수 있는 분위기만 만들어 주면 됩니다.
아이들에게 책을 읽어 주십시오.
어린 자녀를 둔 부모가 해야 하는 가장 중요한 일은 하루도 거르지 말고 아이들에게 책을 읽어 주는 일입니다.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령발달 따른 대근육 놀이 (0) | 2014.02.19 |
---|---|
아이에게 말을 빨리 가르치는 방법 (0) | 2014.02.18 |
떼쟁이 아이 이렇게 다뤄라 (0) | 2014.02.18 |
소근육 발달에 좋은 장난감 (0) | 2014.02.17 |
아이 그림책 어떻게 골라야 하나? (0) | 2014.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