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치는 물고기중의 으뜸이라서 "참치"라 부른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참치맛을 처음 본 것은 1982년부터 생산된 통조림을 시작으로 횟감으로 접한 것은 약 15년 전후로 생각됩니다.

참치는 맛, 모양, 영양면에서 타 어종을 능가하는 어종으로 물고기 중의 으뜸이라고 할 수 있는 참물고기라 해서 참치라고 부릅니다.또한 참치는 깨끗하고 신선한 심해에서 어획되는 안전 식품으로 전 세계에서 널리 식용되고 있는 등푸른 생선의 대표적 어종입니다.

각국마다 명칭이 다르고 한국은 다랑어, 일본은 마구로 眞魚, 영어권에서는 Tuna라 부르기도 합니다.

참치는 고단백 저지방 식픔으로 DHA(도코사헥사엔산), EPA(아이코사펜타엔산) 등 오메가-3 지방산과 칼슘, 비타민 등 인체에 유익한 필수 영양소뿐 아니라 항암효과가 있는 것으로 셀레늄 성분도 다향 함유하고 있습니다.

참치는 "바다의 귀족" 이라 불릴 만큼 그 여양이 풍부한데, 특히 뇌를 구성하는 지방성분의 10%를 차지하는 DHA는 그 효능이 널리 알려져 있다. 1990년 일본 동경에서 개최된 DHA 심포지움에서 마이클 크로포드 교수(영국 뇌영양화학연구소)는 DHA가 건강한 뇌의 형성 및 발육에 유익하고 기억과 학습효과의 향상에도 큰 효험이 있다고 발표했으며, 그 후 세계 각국 연구진들의 실험에 의해 확실히 DHA가 뇌의 기능에 깊게 관계하고 있다는 것이 입중되기도 하였습니다.


특히 참치의 속살( 赤身 : 아까미)은 저지방으로 모든 병의 원인이 되는 성인병 및 비만 예방과 빈혈 방지에 효과가 좋으며 여성들의 원인이 되는 성인병 및 비만 예방과 빈혈 방지에 효과가 좋으며 여성들의 미용식으로도 이상적이라고 합니다.

참치의 죵류

참다랑어는 참치회를 대표하는 정통파의 맛. 차가운 수온을 좋아하여 지방이 오른 오도로(고지방)를 취할 수 있으며 맛이나 색이 다랑어류 중에서 가장 진하며 진한 분홍색을 띠며, 횟감과 초밥재료로 최고의 어종입니다.

눈다랑어는 생산량이 가장 많은 어종으로써 비교적 색이 진하며 부드럽고 연하고, 육질은 붉은색. 참다랑어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여 초밥용, 횟감용으로 많이 쓰입니다.

황다랑어는 살색은 복숭아 색이지만, 초밥을 만드는데 원료로 쓰입니다. 특히 여름과 가을에 맛이 좋습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잘 뛰어노는 게 최고의 성장촉진제  (0) 2014.06.26
여름철 아토피 관리 수칙  (0) 2014.06.24
장마철 식중독  (0) 2014.06.23
설사 이기는 법  (0) 2014.06.17
아동의 카페인 섭취  (0) 2014.06.17
:

고기와 생선

2012. 9. 12. 09:32

단백질, 비타민, 철분의 주공급원이며  6개월 이후에 주는데 곱게 다져서 다른 음식과 섞어서 준다. 

닭고기는 쇠고기보다 소화가 잘되고  쇠간은 철분이 풍부하다. 

생선은 육류보다 부드럽고 소화가 잘 된다. 

소시지나 햄 등은 식품첨가물과 염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좋지 않다. 

6개월부터 고기국(살고기만 푹 고운 국)부터 갈은 고기와 쇠간을 시작할 수 있으며 8-9 개월에는 양을 늘린다.

갈은 고기는 상하기 쉬우므로 1-2 일 이내 사용한다. 

갈은 고기를 한번 더 다지면 부드럽다.  

만  2세까지는 지방섭취를 제한하지 않는다. 

성장과 발육에 중점을 두어 적절한 균형잡힌 식사를 해야 하며 바람직한 습관은 영유아기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이유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식 알러지  (0) 2012.12.05
우유병은 언제까지 사용하나?  (0) 2012.09.13
보충식에서 조심해야 할 음식  (0) 2012.09.12
계란  (0) 2012.09.10
요쿠르트  (0) 2012.09.10
:

계란

2012. 9. 10. 15:00

흰자는 아미노산이 많고 노른자는 철분, 비타민이 많다. 

유화지방으로 소화가 잘된다. 

이유초기 6개월부터 노른자만 완숙하여 조금씩 분유나 물에 으깨어 먹인다. 

흰자는 일찍부터 먹이면 알러지가 증가한다는 말도 있어서 12개월이 지나서 먹이는 것이 좋다. 

일주일에 3-4개 정도가 적당하다. 

계란이 알러지를 잘 일으키는 음식이라는 것이 밝혀지면, 나이가 생우유 시작하는 나이와 더불어 점점 더 늦어지고 있다.


'이유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기와 생선  (0) 2012.09.12
보충식에서 조심해야 할 음식  (0) 2012.09.12
요쿠르트  (0) 2012.09.10
보충식과 변  (0) 2012.09.10
보충식조리의 주의사항  (0) 2012.09.07
:

BLOG main image
by 건강텔링

공지사항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631)
육아상식 (94)
수유 (41)
임신 (67)
이유식 (28)
질병 (42)
건강 (204)
교육 (102)
기타 (52)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글 보관함

달력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Total :
Today : Yesterda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