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유 제품을 매일 3회 이상 먹자.

     - 우유를 매일 3컵 이상 마신다.

     - 요구르트, 치즈, 뼈째 먹는 생선 등을 자주 먹는다.


★ 고기나 생선, 채소, 과일을 매일 먹자.

     - 다양한 채소와 과일을 매일 먹는다.

     - 살코기, 등 푸른 생선 등을 자주 먹는다.

     - 달걀과 콩 제품을 자주 먹는다.


★ 짠 음식을 피하고, 싱겁게 먹자.

     - 장아찌, 젓갈 같은 짠 음식과 가공식품을 적게 먹는다.

     - 음식을 만들거나 먹을 때 소금이나 간장을 적게 사용한다.


★ 술은 절대로 마시지 말자.

     - 술은 절대로 마시지 않는다.

     - 커피, 콜라, 차, 초콜렛 등 카페인 함유식품을 적게 먹는다.


★ 안전한 식품을 선택하고, 위생적으로 관리하자.

     - 신선한 재료를 위생적으로 조리한다.

     - 가공식품이나 인스턴트 식품을 적게 먹는다.


★ 임신부는 적절한 체중증가를 위해 알맞게 먹자.

     - 세 끼 식사와 간식을 즐겁게 먹는다.

     - 일상적인 활동과 가벼운 운동을 규칙적으로 한다.


★ 수유부는 모유 수유를 위해 알맞게 먹자.

     - 음식과 물을 충분히 섭취하여 모유 부족을 예방합니다.


'임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낙태경험과 임신가능성  (0) 2013.08.06
카페인과 임신 가능성  (0) 2013.08.05
산후 우울증  (0) 2013.07.23
조산  (0) 2013.06.19
고령출산  (0) 2013.06.18
:

알칼리성 식품은 이를 건강하게 한다.

치아의 건강을 위해서는 산성 식품보다는 알칼리성 식품을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라면이나 콜라, 피자 등 아이들이 좋아하는 인스턴트 식품이 바로 산성식품.

이런 산성 식품에는 당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충치를 만들기 쉽습니다.

이에 반해 우유나 치즈, 멸치, 생선 등의 알카리성 식품은 치아의 건강뿐만 아니라 아이의 신체 발육에도 좋은 식품입니다.

그 외에도 다시마나 미역, 콩, 녹황색 채소는 산성을 알칼리성으로 바꾸어 주는 식품으로 많이 섭취할 수록 좋습니다.


섬유질이 많은 과일이나 소를 오래 씹는 것은 그야말로 치아 건강에 최고.

섬유질은 치아의 표면을 문질러 프라그를 제거하고 단단하게 만드는 기능을 합니다.

그렇지만 섬유질이 많이 들어 있는 우엉, 당근, 시금치 등은 아이들이 먹으려 하지 않으므로 아이가 좋아하는 조리법을 선택하거나 색다른 모양으로 조리해서 아이가 잘 먹을 수 있도록 해줍니다.

녹차나 감잎차는 충치를 예방한다 아이들이 좋아하는 맛은 아니지만 녹차나 감잎차 등 잎차는 충치를 예방하는 성분이 들어 있습니다.

따라서 아이가 싫어하지만 음식을 먹고 나서 물 대신 차로 입안을 헹구도록 하는 것도 좋습니다.

아이가 목말라 할 때 연한 차를 주어 맛에 익숙하게 만드는 것도 하나의 방법.

주의할 것은 아이가 싫어한다고 해서 차에 설탕을 타면 오히려 충치를 만드는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주의합니다 

유산균 음료도 주의해서 먹인다.

아이들이 이유식을 시작하면서 많이 마시는 것 중 하나가 유산균 음료.

아이는 단맛 때문에 좋아하고 엄마는 아이의 건강에 좋다고 생각해 자주 마시게 하지만 유산균 음료에는 당분과 산이 다량으로 들어 있다.

당분과 산은 치아의 표면 구조가 약한 유치에 나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또 아이가 구토나 설사를 할 때 먹이는 이온 음료 역시 젖병에 넣어 오래 빨게 하지 않습니다.


끈적끈적한 음식은 충치를 일으키기 쉽다.

엿이나 꿀, 젤리 찹쌀떡, 캐러멜 등 끈적끈적한 식품은 이에 무척 해롭습니다.

이런 식품은 입안에 오래 남아 있고 먹고 난 뒤에도 끈적끈적한 성분이 잘 닦여지지 않는다.

따라서 이런 것을 먹고 나서는 반드시 양치질을 하고, 자기 전에는 먹지 않도록 합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아당뇨  (0) 2013.06.28
아이가 화상을 입었을 때 응급조치  (0) 2013.06.25
머리를 다쳤을 때 응급처치  (0) 2013.06.21
아이가 벌레(모기, 벌)에 물렸을 때  (0) 2013.06.20
밤에 갑자기 아픈 아이 응급처치  (0) 2013.06.17
:

철 결핍은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영양결핍이며, 철 결핍성 빈혈 역시 소아에서 의 가장 흔한 혈액 질환입니다.


영 유아의 철 결핍성 빈혈의 원인은 미숙아나 쌍생아에서 출생 시 철 저장이 부족한 경우, 모유, 우유, 미음만으로 오랫동안 식사한 경우, 만성 설사 등으로 철분 섭취가 부족한 경우, 또는 실혈 등으로 발생 할 수 있습니다.


만삭 아에서는 생후 3~6개월까지는 태내에서 저장된 철분으로 충당이 되지만, 6개월이 지나면 철분이 많이 소모되어 부족하게 되므로 체외로부터 섭취하지 못하면 철 결핍을 초래하게 됩니다. 미숙아에서는 저장 철이 부족하고 성장이 빠르기 때문에 생후 2개월부터는 철분을 보충해 주어야 철 결핍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철 결핍성 빈혈의 증세는 어느 정도 진행되기까지는 모르는 경우가 많은데, 피부나 점막이 창백해지고, 식욕이 감소하고, 기분이 좋지 않으며, 주위에 대한 관심도 적어지고 잘 보채게 됩니다. 심한 경우 감염 위험이 생길 수도 있으며 흙, 종이, 숯 등을 주워 먹는 이미 증, 설염, 구각 염, 스푼 형 손톱 등이 올 수도 있습니다.


치료는 일단 원인을 제거해야 하며, 철분제를 투여하여 빈혈을 교정 하는 것입니다. 철분제는 혈색소치가 정상으로 된 다음에도 저장 철을 보충하기 위해 2~3개월 더 복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철 결핍을 예방하기 위해 수유 시 유의할 점은 모유가 우유 보다 철 흡수가 잘 되므로 모유 수유를 권장합니다. 생우유는 위장 관 잠혈 출혈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과량 섭취를 피하여야 합니다. 과일, 과즙, 육류로 만든 이유식 등은 철 흡수에 도움이 됩니다. 그러나 생우유, 달걀, 치즈 등은 철 흡수를 방해할 수 있습니다.

:

BLOG main image
by 건강텔링

공지사항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631)
육아상식 (94)
수유 (41)
임신 (67)
이유식 (28)
질병 (42)
건강 (204)
교육 (102)
기타 (52)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글 보관함

달력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Total :
Today : Yesterda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