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 발진이 생겼을 때

2012. 12. 13. 10:54
간호포인트

- 체온의 변화를 살핀다

- 손톱을 짧게 깎아 준다

- 열이 있으면 목욕은 피한다

- 외출은 삼간다

- 속옷은 청결하게 유지한다

- 발진 상태를 잘 관찰한다

발진이 생기는 병

- 풍진

- 성홍열

- 수족구병

- 농가진(부스럼)

- 수두

- 홍역

- 돌발성 발진

- 기저귀 발진

- 피부 캔디다증

- 지루성 피부염

- 바이러스성 발진(열꽃)

발진 Q&A

Q : 아기 몸에 딱지가 앉아 있던 부위가 하얗게 변했어요. 이럴 땐 어떤 약이 좋을까요?
A : 상처로 인해 딱지가 앉아 있던 부분은 착색이나 탈색이 될 수 있다. 크게 염려하지 않아도 되며, 자연적으로 좋아지니 특별히 약을 쓸 필요도 없다.

- 38도 이상의 열이 나고, 가벼운 감기 증세와 함께 붉은 색의 자잘한 두드러기 같은 것이 온 몸에 나타난다. -> 풍진

- 고열, 편도선 염증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혀가 오톨도톨하고 붉게 변하며, 입 주변을 제외한 온 몸에 발진이 나타난다. -> 성홍열

- 열이 나고 입 안이나 혀에 물집을 동반한 발진이 생긴다. 점차 손이나 발 등으로 확장된다. -> 수족구병

- 입술이나 코, 귀, 손, 발, 가슴 등에 붉은 발진이 생겼다가 터지면서 황갈색 딱지가 앉는다. -> 농가진

- 처음에는 물집이 있는 발진이 나타나다 점점 커지면서 딱지가 생긴다. 3~4일에 걸쳐 온 몸에 퍼지며, 가벼운 열을 동반하기도 한다. -> 수두

- 열이 나는 감기 증상을 보이다가, 열이 내렸다 다시 오를 때 쯤 온 몸에 걸쳐 빨갛고 작은 발진이 나타난다. 눈꼽이 끼고 기침도 심하며, 축 늘어져 기운이 없다. -> 홍역

- 38~39도 정도의 열이 올랐다 내려가면서 분홍빛 발진이 온 몸에 나타난다. -> 돌발성 발진

- 기저귀를 찬 부위의 피부가 붉어지면서 붓고 진물이 생기기도 한다. -> 기저귀 발진

발진체크! 증상별 긴급도

- 열이 난다

- 열이 일단 내렸다가 다시 고열이 나고

- 전신에 붉은 발진이 생겼다.

- 발열과 동시에 작은 원형의 발진이 생긴다

- 고열이 5일 이상 계속되고 전신에 발진이 생긴다.

- 손바닥이나 발 등에 드문드문하게 수포가 생긴다.

- 열이 내려가면서 동시에 발진이 생긴다.

열이 없다

- 사마귀 모양의 발진이 겨드랑이에 생긴다.

- 벌레 같은 붉고 작은 발진이 나타난다.
   손, 발 등의 표면에 단단하고 작은 발진이 있다.

- 가려움증이 강하고 수포가 생긴다.

- 약을 먹은 후에 발진이 생겼다.

  엉덩이나 사타구니 등에 발진이 나타난다.

  겨드랑이 아래나 머리 주변에 작은 발진이 있다.

잠깐! 발진의 범위가 넓거나 가려움증, 통증, 진무름 등을 동반할 경우에는 의사의 진단을 받아야 합니다.


'질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기의 증상 긴급도 감별법  (0) 2012.12.14
충치 예방법  (0) 2012.12.13
아이가 열이날때  (0) 2012.12.12
알레르기가 있을 때  (0) 2012.10.18
기저귀 발진  (0) 2012.09.14
:

기저귀 발진

2012. 9. 14. 10:08

특히 모유를 먹고변을 자주 보는 아기들에게 흔한 일입니다만 기저귀 발진은 아주 흔히보는 일입니다.

원인은 대변에 포함된 여러 가지 화학물질과 습기, 곰팡이 균 등이 합작하여 일으키는 피부의 염증입니다. 대변을 보면 흐르는 물로 씻어주세요. 물휴지는 대변이나 화학 물질 등을 완벽하게 씻어내지 못하고겉보기에만 깨끗합니다.

씻은 곳을 충분히 말리고 기저귀를 잠시 벗겨 주셔도 좋습니다. 특히 남아의 음낭 밑 부분은 잘 말리지 않으면 그곳만 발진이 남아 있을 수있습니다. 이런 경우는 엎드린 자세로 말려주시면 효과적입니다.

소아과에서는 잠시 대변보는 횟수를 줄이도록 소화제(스멕타나카올린등 흡수되지 않아 안전한 약)을 처방하고 기저귀 발진 연고를처방해 줍니다. 심하지 않을 때는 피부 보호제만 발라두어도 잘낳습니다. 자신이 없으신 엄마는 미리 소아과에 가서 연고를 처방받으세요.


▣ 연고제를 바를 때 이런 점주의하세요.
아기의 엉덩이가 빨갛게 익으면 엄마들은 기저귀 발진이라고 믿고 연고를 바릅니다. 그러나 아기의 엉덩이가 빨갛게 되는 원인에는 여러가지가 있으므로 무조건 기저귀발진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잘못된 생각입니다. 또한 진단명이 기저귀 발진으로 판명이 되었음에도 그 원인에 따라 연고의 종류가 달라지므로 반드시 아기에게 바르는 연고는 소아과 전문의에게 처방을 받아야 합니다.

그리고 한 말씀 더, 과거의 엄마들은 베이비 파우더를 젖은 상태에서 또는 치료용 연고를 바른 후에도 반드시 분을 바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습니다. 그러나 연고나 피부가 젖은 상태에서의 분은 피부가 숨을쉴 수 없기 때문에 더욱 증상이 나빠지게 됩니다.


'질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충치 예방법  (0) 2012.12.13
유아 발진이 생겼을 때  (0) 2012.12.13
아이가 열이날때  (0) 2012.12.12
알레르기가 있을 때  (0) 2012.10.18
신생아의 배꼽관리  (0) 2012.09.14
:

BLOG main image
by 건강텔링

공지사항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631)
육아상식 (94)
수유 (41)
임신 (67)
이유식 (28)
질병 (42)
건강 (204)
교육 (102)
기타 (52)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글 보관함

달력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Total :
Today : Yesterda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