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기가 약간 열이 높거나 심하게 구토나 설사를 하거나 숨력이나 호흡상태가 이상하면 최근에는 바로 구급차를 불러 병원으로 가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구급차로 운반되는 아기 중 대부분이 가벼운 증상으로 서두를 필요가 없는 경우라고 합니다.
하지만, 병의 경중을 정확하게 진단하기는 의사도 어려운 만큼 비전문가인 아기 엄마가 판단하기에는 어려울 수 밖에 없지요.
그러나 아기의 상태를 추측하는 포인트를 알고 있으면, 어느 정도 증상의 경중을 알 수 있다고 하니
구급차를 불러서 병원으로 급행할 것인지, 잠시 상태를 보고 나서 의사에게 갈 것인지 판단할 수도 있지 않을까요?
긴급을 요하는지 분별한다아기의 증상을 걱정해야 하는지 하지 않아도 되는지 당황스럽기만 하다. 그 가운데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몸이 좋은지 좋지 않은지이다.
그리고 대략 다음과 같은 것을 기준으로 긴급성의 유무를 판단한다.
- 열이 있어도 활기가 있고 식욕도 있어 달래면 웃는다:좋은 상태
- 열이 없어도 안색이 좋지 않거나 눈이 멍하거나 식욕도 없다: 좋지 않은 상태
- 특히, 숨결이 거칠며 의식이 몽롱하고 구토를 반복하며 출혈이 심하다: 심한 병
특히 심한 병이라 판단될 때에는 밤중이라도 구급차를 불러 진찰을 받는다.
병원에 가기 전에 해야 할 것전신 상태(식욕, 기분, 수면 등)를 잘 관찰하여 메모해 둔다.
가능하면 체온을 잰다.
변뇨, 토한 것이 있으면 가지고 가거나 색이나 냄새 등을 잘 관찰, 기록한다.
약을 자신의 판단으로 먹이지 않는다.
열, 설사,구토 등 주요 증상.
이러한 증상이 시작된 시기와 그 후의 경과.
기타 걱정되는 증상.
먹인 약이나 집에서 한 처치.
위와 같은 사항을 간결히 보고하면 의사가 진단을 내리는데 매우 도움이 된다 위와 같은 사항을 간결히 보고하면 의사가 진단을 내리는데 매우 도움이 된다. 그리고 병명은 제멋대로 깊이 생각하지 말고 어디까지나 의사에게 맡긴다.
'질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아용 수면 포지셔너」 사용주의 필요! (0) | 2012.12.17 |
---|---|
아기병의 개요 (0) | 2012.12.14 |
충치 예방법 (0) | 2012.12.13 |
유아 발진이 생겼을 때 (0) | 2012.12.13 |
아이가 열이날때 (0) | 2012.1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