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 중 복용한 타이레놀 등 아세트아미노펜 성분 해열 진통제가 아이의 언어발달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마운트시나이의대 샤나 스완 교수는 임신부 754명을 대상으로 타이레놀 복용 여부와 자녀의 언어발달 결과를 분석했다.
그 결과 임신부 중 59%가 임신 8~13주에 타이레놀을 복용했는데, 이들의 자녀를 대상으로 생후 30개월 무렵 언어발달 검사 결과, 참여 어린이의 10%에서 언어발달 지연이 나타났다.
이같은 현상은 특히 여자 아이에서 주로 나타났다.
연구진에 따르면 임신 초기 3개월동안 타이레놀을 6정 이상 복용한 여성의 여아는 그렇지 않은 여성의 여아보다 언어발달 지연율이 약 6배로 높았다.
반면, 남아에서는 타이레놀 복용과 관계가 없었다.
연구진은 "아세트아미노펜이 태아의 뇌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호르몬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이같은 결과가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한다"고 말했다.
한편, 최근에는 임신 중 타이레놀 복용이 여아의 생식 능력을 저하시킨다는 덴마크 코펜하겐대의대 데이비드 크리스텐센 박사팀의 연구 결과가 발표된 바 있다.
'임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왕절개를 해야하는 경우와 제왕절개의 단점 (0) | 2018.01.26 |
---|---|
고위험 임신 예방 관리 (0) | 2018.01.24 |
임신 중 생선·버섯·견과류 섭취, 유아 피부 질환 예방 (0) | 2016.10.19 |
지카바이러스 발생국 방문 후 최소 6개월간 피임해야 (0) | 2016.10.11 |
기형아 유발 가능성 높은 '이소트레티노인 제제' 임신 전 사용 금지 (0) | 2016.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