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수막염 예방

2016. 6. 23. 11:28

뇌수막염은 뇌 및 척수를 감싸고 있는 막에 염증이 생기는 것을 말한다.

뇌수막염은 크게 세균성 뇌수막염과 바이러스성 뇌수막염으로 나뉜다.

바이러스성 뇌수막염은 가장 흔하게 나타나며 전체 80~90%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정상적인 면역기능을 가진 성인이라면 저절로 낫기도 하지만 면역력이 약한 영유아의 경우 치료의 기간이 길어지거나 후유증을 남길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세균성 뇌수막염은 전체 뇌수막염의 10% 정도를 차지하며 바이러스성 뇌수막염과 다르게 신속하게 치료받지 않으면 급속히 악화돼 사망하거나 생존한다고 해도 뇌 손상과 청력 상실 등 심각한 후유증을 남기게 된다.


◆  뇌수막염의 초기 증상은?

뇌수막염에 걸리면 나이와 건강 상태에 따라 다르지만 대부분 38℃ 이상의 고열과 두통, 뻣뻣한 목, 구토, 나른함, 등과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

영유아의 경우 머리가 깨질 것 같은 극심한 두통을 호소하고 무기력함과 식욕부진 같은 증상도 함께 나타난다.

특히 1세 미만의 경우 수유를 거부하고 축 늘어지거나 열이 나면서 구토를 하는 증상이 나타난다.

그 외에도 호흡곤란과 설사의 증상을 보인다.


◆ 뇌수막염 예방하는 생활습관

1. Hib 예방백신

뇌수막염 예방접종이라고 불리는 Hib 백신은 b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를 예방하는 백신이다.

생후 2, 4, 6개월에 세 번, 12~15개월 한 번 접종을 통해서 뇌수막염을 예방할 수 있다.


2. 손발 깨끗하게 씻기

손발 씻기는 세균을 예방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이다.

손발만 잘 씻어도 뇌수막염을 비롯한 식중독, 눈병 등 각종 전염병을 예방해준다.


3. 컵과 식기는 공동으로 사용하지 않기

뇌수막염은 보균자의 기침이나 재채기 등 타액을 통해 호흡기로 감염되므로 식기나 컵, 수저는 공용으로 사용하지 않고 개인용품을 사용한다.


4. 뽀뽀하지 않기

면역력이 약한 아이는 부모의 뽀뽀 같은 애정표현에도 바이러스에 쉽게 노출된다.

아무리 아이가 예쁘더라도 입과 입 주변에는 애정표현을 삼간다.


5. 외출 후 양치하기

외출 후 양치하는 습관을 통해서 개인위생 관리에 힘써야 한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땀띠를 완화하는 방법  (0) 2016.06.30
소아 코골이, 저성장·집중력 저하의 주범  (0) 2016.06.24
소아 중이염  (0) 2016.06.13
우유 알레르기  (0) 2016.05.30
겨울철 소아 장염 조심.  (0) 2015.12.14
:
BLOG main image
by 건강텔링

공지사항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631)
육아상식 (94)
수유 (41)
임신 (67)
이유식 (28)
질병 (42)
건강 (204)
교육 (102)
기타 (52)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글 보관함

달력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Total :
Today : Yesterda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