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궁경부가 닫혀있는 상태로 사망한 임신산물이 수일에서 수 주 동안 자궁 내에 남아 있는 경우를 말합니다.
증상
임신초기에는 정상 임신의 증상 및 징후를 보이다가 태아 사망 후에는 자궁은 더 커지지 않으며 유방의 변화가 퇴행하나 복통, 질 출혈 등은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간혹 임신산물이 자궁 내에 장기간 잔류하는 경우 심한 응고 이상에 의한 코피, 잇몸 출혈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치료
계류유산이 진단되면 치료는 개개인의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는데 기대요법, 약물요법, 또는 수술적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수술은 일반적으로 명확한 치료이지만 침습적인 방법이고 모든 임신부에게 다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기대요법과 약물 치료는 때로 간혹 예상치 못한 출혈이 발생할 수 있고 응급 수술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임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신 중 곤지름 (0) | 2016.08.12 |
---|---|
환경호르몬, 탯줄·모유로 대물림된다 (0) | 2016.08.09 |
임신기간 중 주의사항 (0) | 2016.07.18 |
임신부에게 종합비타민제는 돈 낭비일 뿐 (0) | 2016.07.12 |
타이레놀, 임신 중 복용 '적신호' (0) | 2016.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