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감자 

비염, 천식, 두드러기, 습진 등의 알레르기성 체질의 아이들은 평소 칼륨을 많이 먹어야 합니다.

칼륨이 알레르기성 체질의 균형을 잡아 주기 때문인데 바로 이 칼륨이 풍부하게 들어 있는 식품, 감자는 칼륨 함유량이 밥의 16배나 됩니다.

또 감자 속의 칼륨은 현기증 치료에도 효과가 있습다.

이 외에도 정장 효과가 뛰어난 감자는 변비예방과 치료에 도움을 줍니다.

해충이나 기생충 따위를 없애주는 구충작용과 독기를 풀어 주는 해독작용도 가지고 있으며 침의 산성화를 막아주어 아이들의 충치예방에도 효과적입니다.

감자를 많이 먹는 지역에는 상대적으로 치과질환이 적다는 조사보고도 있습니다.

감자를 이용해 감자밥, 감자경단, 감자전, 감자수프 등 평소 다양한 요리를 만들어 아이들에게 주는 것도 좋습니다.


◎ 가지 

가지에는 비타민은 적지만 칼슘, 철분 등 미네랄이 풍부하게 들어있습니다.

땀띠, 사마귀, 티눈 등에는 익히지 않은 가지를 썰어 문지르고, 티눈이 있을 때는 잘라낸 꼭지로 문지르면 됩니다.

무엇보다 가지는 단것을 좋아하는 어린이의 구강 계통의 질병을 치료하는 약으로 이용해 볼 만합니다.

구내염에는 그늘에 말린 가지를 진하게 달인 뒤 굵은 소금을 넣고 하루에 두세번 가량 양치질을 하면 가라앉습니다.

또는 알루미늄호일에 가지를 싸서 까맣게 될 때까지 구워 가루로 낸 다음 꿀을 섞어 구내염 환부에 발라도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충치 때문에 이가 썩고 통증이 있을 때는 가지꼭지를 진하게 달여 그물로 양치질을 하거나 햇볕에 바짝 말린 가지꼭지를 가루로 내어 충치 부위에 발라도 됩니다.

그러나 가지는 찬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기침이 잦은 아이는 피해야 합니다.


◎ 오이 

미네랄이 풍부해서 피를 맑게 해주는 작용을 합니다.

생 오이는 몸을 차게 식혀주는 효과가 있어 열이 많은 아이들에게 좋은 식품입니다.

특히 피부표면의 열을 없애주므로 부스럼이나 땀띠 등의 피부병을 자주 앓는 아이들에게 효과적 입니다.

아이가 땀띠로 고생을 할 때는 오이즙을 내서 땀띠가 난 부위에 가볍게 두드리듯 발라주면 피부표면의 열을 없애 땀띠를 낫게 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익힌 오이는 이뇨효과, 해독작용이 있습니다.

열이 나면서 설사를 하는 아이에게는 익힌 오이를 꿀에 발라 먹이면 진정됩니다.

그러나 오이는 몸을 차게 하는 작용이 있는 만큼 많이 먹이면 배를 차게 하므로 오히려 역효과가 날 수도 있어 주의를 해야 합니다.


◎ 호박 

열을 내려주고 설사를 멎게 해주며 이뇨작용을 도와줍니다.

이런 해독작용 외에도 구충작용과 약물중독 치료제로 이용됩니다.

구충제로 이용할 때에는 호박을 날로 얇게 저며 아이에게 먹이면 가벼운 설사를 하는데 이때 체내의 기생충을 배출 시킵니다.

또 호박씨를 진하게 달여 먹여도 같은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또 백일해를 앓는 아이에게도 좋은 약이 되며, 목이 아플 때는 말린 호박씨에 각설탕을 넣고 졸여서 마시면 통증을 진정시킵니다.


◎ 콩제품 

콩은 단백질과 지방이 풍부한 영양식품.

콩에 들어있는 레시틴은 뇌의 30%나 들어있어 신경질 적이고 짜증을 잘내는 아이에게는 좋은 식품입니다.

콩을 이용한 두유는 코의 유효성분을 모두 소화되기 쉬운 모양으로 만든 것으로 이 두유를 미지근하게 데워 잠자기 전에 먹이면 쉽게 잘 수 있습니다.

또 콩을 가공한 두부는 지방을 줄이는 성분이 있어서 비만을 예방하거나 성장 중에 지나치게 비만인 아이들에게 적합한 식품입니다.

특히 소아비만은 소아성인병의 이유가 되기도 하므로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데, 두부에는 리놀산이 듬뿍 들어있어 콜레스테롤치를 낮춰주는 작용을 합니다.

특히 두부는 열을 내려주고 염증을 가라 앉혀주는 찜질약으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얼음보다 더 효과적이므로 아이가 열이 심할 때 사용해 보는 것도 좋겠습니다.

두부찜질약-두부를 헝겊으로 싸서 물기를 꼭 짠다음 곱게 으깨서 밀가루와 섞어 반죽을 만듭니다.

이것을 1cm정도의 두께로 펴서 거즈에 싼 다음 열이 오른 아이의 이마에 얹어줍니다.


◎ 사과 

사과에 풍부하게 들어있는 펙틴은 장 속에서 유산균의 발효를 돕고 대장균의 번식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으므로 설사를 멎게 하는데 특효약입니다.

소화불량으로 인해 설사를 하는 아이에게는 사과즙을 먹이면 좋지만 가스가 쉽게 차는 아이에게는 너무 많이 먹이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 배 

감기나 편도선염에 의한 갈증이나 통증을 진정시키는 약효가 있습니다.

강판에 배를 갈아 즙을 내서 먹이는 것도 열로 인한 갈증해소에 좋으며, 익힌 배는 천식발작이 심해 기침을 심하게 하거나 가래가 나올 때 먹으면 기침이나 가래를 진정시키는 작용을 합니다 

:

수유모의 음식 섭취와 무관하게 모유 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칼슘, 인, 마그네슘, 나트륨, 칼륨 함량은 어느 정도 일정하게 유지되며 셀레늄과 요오드, 지방산 조성은 엄마의 섭취량에 영향을 받는다. 모유수유 중 일반적으로 권장되는 열량보다 15% 적게 섭취해도 완전모유수유, 왕성한 활동, 임신 전 체중으로의 점진적 감소가 가능하다고 한다. 


젖양

건강한 아기의 하루 평균 수유량은 대략 750~800cc 정도이다. 엄마가 만드는 젖양은 모유수유 기간에 따라 다소 변하기는 하나, 이는 극도로 영양이 결핍되거나 중증 탈수가 아니라면 대체로 예측 가능한 수준의 변화이다. 일반적으로 건강한 여성이 심하게 구토나 설사를 하여도 젖양 감소는 10% 정도 탈수가 되어 엄마의 소변량이 상당히 감소한 이후에야 나타난다. 

 

열량 섭취가 부족할 때 정상적인 수유모는 기초대사량, 열 발생, 신체 활동을 감소시킴으로써 열량 소모량을 절감하는데 이를  “열량 절감 적응”이라고 한다.  또한 이미 확립된 젖양은 일반적으로 운동, 육체 노동, 체중 감소에 의해 변화되지 않는다. 결론적으로 젖양은 아기의 요구량에 따라 증가하며 아기의 요구량은 충분한 영양에 따른 성장에 의해서만 증가한다. 


열량 보충이 모유수유에 미치는 영향

젖양 부족은 수유모의 영양과 상관이 없으며 영양 보충의 효과는 생리적이라기보다는 심리적인 현상이다. 영양결핍이 만연한 지역에서조차 수유모에 대한 음식 보충은 일반적으로 젖양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때문에 이러한 음식 보충은 엄마의 건강을 증진시키고, 특정 영양소 결핍에 의해 모유 성분이 영향을 받는 경우를 제외한다면 아기보다 엄마에게 더 이득이 된다.


지방콜레스테롤

성숙유의 열량은 약 50%를 지방에서 얻는다. 지방은 아기의 뇌, 망막과 기타 조직의 구조적 발달과 성장에 필수적이며 오메가 3와 오메가 6 지방산은 세포막 인지질의 필수 요소이다. 생후 첫 4-6개월 동안 아기는 체내에 1300-1600g의 지방을 축적한다. 모체의 지방과 모유 내 지방 사이에는 강력한 연관이 있다. 모유 내 지방의 가장 좋은 예측 인자는 모체의 지방 분포가 아니라 전반적인 비만도이다. 뚱뚱한 여성은 식이 지방이 모유 내 지방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그렇지 않은 여성에서는 식이 지방과 모유 내 지방 간에 양의 상관 관계가 있으며 수유모의 영양 상태가 극도로 나쁘면 모체 내 지방 축적 정도가 모유 내 지방 농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중성지방의 지방산 성분은 모유 지방의 98% 이상을 차지하며 수유모의 식이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수유모가 고열량, 저지방 식이를 하면 탄수화물로부터 중쇄지방산이 합성되기 때문에 장쇄지방산에 비해 중쇄지방산 비율이 높아진다. 이러한 중쇄지방산은 수유모의 유선샘에서 합성되며 수유모의 식이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반면 장쇄지방산은 혈장 중성지방에서 직접적으로 만들어진다. 

 

콜레스테롤은 아기에게 필수적이다. 콜레스테롤과 인지질 함량은 수유모 식이에 의해 변화하지 않는다. 모유 내 콜레스테롤은 고콜레스테롤 여성에서도 100-150mg/L로 일정하게 유지된다. 수유모가 저콜레스테롤 식사를 하면 모체 혈액 내 콜레스테롤 수치는 낮아지지만 중성지방은 변하지 않으며 모유 내 콜레스테롤 함량도 변화되지 않는다. 다중불포화지방산을 많이 섭취하면 모유 내 포화지방산은 감소하는 대신 다중불포화지방산은 증가한다. 일부 콜레스테롤은 유선샘에서 생성된다. 

 

트랜스지방은 수소화 작용에 의해 생성되며 수유모 섭취에 따라 모유 내 함량이 영향을 받는다. 트랜스지방은 지방 대사의 여러 가지 효소 작용을 억제하여 아라키돈산과 프로스타글란딘 합성을 방해하며 세포막의 투과도와 유동성을 변화시킨다. 

 

해안 지역에 사는 여성들의 젖에는 산간 지역 여성들에 비해 DHA 함량이 높고 아라키돈산/DHA 비율도 낮으며 아기의 DHA 수치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라키돈산은 영아 성장과, DHA는 뇌 및 망막 성장과 관련이 있다. 

 

동물 실험에 근거할 때 수유모 식이에서 지나치게 지방을 제한하는 것은 주의해야 한다. 특히 지방은 아기의 두뇌 발달에 매우 중요하다. 또한 DHA는 산후우울증에 대해서도 보호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모유수유  생선 섭취

현재 분유에 합성 DHA를 첨가하고 있지만 합성 DHA가 인간 젖에 들어 있는 천연 DHA와 같은 효과를 갖고 있다는 증거는 없다. 수유모에게 비교적 적은 양의 DHA를 보충함으로써 모유 내 DHA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수유모 식이에 생선이나 어유를 보충하면 오메가-3 지방산, 특히 DHA가 증가하지만, 영양 상태가 양호한 정상 여성에게 보충을 하는 것이 이득이 된다는 증거는 없다. 오히려 지나치게 많은 DHA는 아라키돈산/DHA의 적정 비율에 해가 된다. 

 

임신과 수유 중 생선 섭취는 수은 오염의 위험이 있으나 어류는 장쇄 오메가-3 지방산과 비타민 D뿐만 아니라 풍부한 단백질, 비타민 B, 아연, 요오드, 셀레늄의 급원이 되며 아기의 시력, 인지, 운동 및 행동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식품의약국에서는 모유수유 중 주당 12온스, 즉 340g 정도의 작은 생선 섭취를 권하고 있다.

 

유당

모유 내 주된 탄수화물은 유당이며 그 함량은 약 70g/L이고 수분 다음으로 가장 많은 성분이다. 수유모 식이 조절을 통해 모유 내 유당이 변한다는 증거는 없다. 

 

수분

수분 섭취를 늘리면 젖양이 증가하거나 수분 섭취를 억제하면 젖양이 감소한다는 근거는 없다. 지나치게 많은 수분을 섭취하면 오히려 젖양이 감소한다는 연구 결과들이 있으므로 억지로 일정 수분량을 섭취하려 하기보다는 목마르지 않을 정도로 마시는 것을 권한다. 수분 섭취를 늘리면 엄마의 소변양이 증가하고 수분 섭취를 줄이면 소변양이 감소할 뿐이므로 울혈이 있는 경우도 수분 섭취를 지나치게 줄이지 말아야 한다.

 

열량

임신 중 체지방 축적과 수유 중 체지방 감소는 지방 세포의 숫자가 아니라 크기의 변화이다. 영양 상태가 양호한 수유모의 경우 모유 내 열량은 대략 75kcal/dL이다. 지방 저장량이 극도로 적은 영양결핍 상태인 여성의 젖에는 열량이 이보다 적을 수 있다. 

 

한 연구에 따르면 수유모는 일반 여성에 비해 1일 580kcal의 열량을 더 소모한다. (2460kcal:1880kcal). 여성의 대사 효율은 젖을 먹이는 동안 현저히 증가하나 모체의 열량 사용 중 모유수유 이외의 요소는 감소한다. 모유수유 중 1일 권장 열량은 2700 kcal 정도이며 일반적인 실제 수유모 열량(2200 kcal) 섭취 시 일부 영양소가 부족할 수 있다. 수유모 최소 열량(1800 kcal) 섭취 시는 각각의 영양소에 대해 특별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 한 칼슘, 아연, 마그네슘, 티아민, 비타민 B6, 비타민 E, 리보플라빈, 엽산, 인, 철분이 부족하게 된다. 

 

수유모들은 과일, 채소, 전곡류, 칼슘이 풍부한 유제품과 단백질이 풍부한 식품을 충분히 섭취할 것을 권한다. 수유모에게 비타민이나 무기질 보충은 불필요하다. 그러나 특정 영양소 충족 상태를 꼼꼼히 검토하여 부족할 경우 이들 영양소가 풍부한 식품을 섭취하도록 해야 한다.


'수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장과 모유수유  (0) 2012.12.07
모유수유와 피임  (0) 2012.09.12
유방울혈  (0) 2012.09.11
유두 통증을 줄이기  (0) 2012.09.10
모유 많이 나오게 하는 방법  (0) 2012.09.06
:

BLOG main image
by 건강텔링

공지사항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631)
육아상식 (94)
수유 (41)
임신 (67)
이유식 (28)
질병 (42)
건강 (204)
교육 (102)
기타 (52)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글 보관함

달력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Total :
Today : Yesterda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