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토피 피부염은 12세 미만 어린이들에게 흔히 나타나는 피부질환으로 보통 아토피 피부염→천식→알레르기 비염으로 진행되는 아토피 질환의 연쇄 행진이 진행된다. 

이 때문에 가장 첫 단계인 피부염 상태에서 조기 치료가 매우 중요하며 ‘어른이 되면 낫는다’는 편견은 잘못된 것이다.

아토피 피부염 발병 원인이 유전적 환경적 요인 등 다양한 만큼 부모가 아토피 피부염이 있을 경우 자녀들에게는 80%가량 발견되며 천식을 가진 어린이의 4분의 3 정도가 피부염을 앓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아토피 피부염의 치료법으로는 

△ 피부를 항상 깨끗하게 유지할 것 

△ 피부를 촉촉하게 유지할 것 

△ 꾸준한 약물치료를 할 것 

등을 추천한다. 

어린이가 밤새 가려워서 잠을 못 이룰 경우에는 차갑고 축축한 수건으로 피부를 진정시키고 의사가 준 보습제나 약물로 치료하는 것이 좋다.


아토피증상 자가 진단법


● 몸이 더워지거나 땀이 나면 가렵다

● 땀이 나면 등이 따끔따끔하거나 작은 두드러기가 생긴다

● 땀띠가 잘 나는 편이다

● 표면이 거친 옷을 입으면 피부가 가렵고 붉어진다

● 음식이나 과일을 먹은 후 입술이 붓거나 두드러기가 난다

● 꽃가루가 날리는 계절에 피부가 가렵고 붉어진다

● 스트레스를 받거나 화가 나면 피부가 가렵다

● 다른 사람에 비해 손발이 찬 편(수족냉증)이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아이 비타민이 부족한 이유  (0) 2013.12.03
아이에게 비타민이 중요한 이유  (0) 2013.12.02
감기 침입유형별 치료법  (0) 2013.11.28
어린이 시력관리법  (0) 2013.11.22
자다가 깨서 우는 아이  (0) 2013.11.20
:

◎ 감자 

비염, 천식, 두드러기, 습진 등의 알레르기성 체질의 아이들은 평소 칼륨을 많이 먹어야 합니다.

칼륨이 알레르기성 체질의 균형을 잡아 주기 때문인데 바로 이 칼륨이 풍부하게 들어 있는 식품, 감자는 칼륨 함유량이 밥의 16배나 됩니다.

또 감자 속의 칼륨은 현기증 치료에도 효과가 있습다.

이 외에도 정장 효과가 뛰어난 감자는 변비예방과 치료에 도움을 줍니다.

해충이나 기생충 따위를 없애주는 구충작용과 독기를 풀어 주는 해독작용도 가지고 있으며 침의 산성화를 막아주어 아이들의 충치예방에도 효과적입니다.

감자를 많이 먹는 지역에는 상대적으로 치과질환이 적다는 조사보고도 있습니다.

감자를 이용해 감자밥, 감자경단, 감자전, 감자수프 등 평소 다양한 요리를 만들어 아이들에게 주는 것도 좋습니다.


◎ 가지 

가지에는 비타민은 적지만 칼슘, 철분 등 미네랄이 풍부하게 들어있습니다.

땀띠, 사마귀, 티눈 등에는 익히지 않은 가지를 썰어 문지르고, 티눈이 있을 때는 잘라낸 꼭지로 문지르면 됩니다.

무엇보다 가지는 단것을 좋아하는 어린이의 구강 계통의 질병을 치료하는 약으로 이용해 볼 만합니다.

구내염에는 그늘에 말린 가지를 진하게 달인 뒤 굵은 소금을 넣고 하루에 두세번 가량 양치질을 하면 가라앉습니다.

또는 알루미늄호일에 가지를 싸서 까맣게 될 때까지 구워 가루로 낸 다음 꿀을 섞어 구내염 환부에 발라도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충치 때문에 이가 썩고 통증이 있을 때는 가지꼭지를 진하게 달여 그물로 양치질을 하거나 햇볕에 바짝 말린 가지꼭지를 가루로 내어 충치 부위에 발라도 됩니다.

그러나 가지는 찬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기침이 잦은 아이는 피해야 합니다.


◎ 오이 

미네랄이 풍부해서 피를 맑게 해주는 작용을 합니다.

생 오이는 몸을 차게 식혀주는 효과가 있어 열이 많은 아이들에게 좋은 식품입니다.

특히 피부표면의 열을 없애주므로 부스럼이나 땀띠 등의 피부병을 자주 앓는 아이들에게 효과적 입니다.

아이가 땀띠로 고생을 할 때는 오이즙을 내서 땀띠가 난 부위에 가볍게 두드리듯 발라주면 피부표면의 열을 없애 땀띠를 낫게 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익힌 오이는 이뇨효과, 해독작용이 있습니다.

열이 나면서 설사를 하는 아이에게는 익힌 오이를 꿀에 발라 먹이면 진정됩니다.

그러나 오이는 몸을 차게 하는 작용이 있는 만큼 많이 먹이면 배를 차게 하므로 오히려 역효과가 날 수도 있어 주의를 해야 합니다.


◎ 호박 

열을 내려주고 설사를 멎게 해주며 이뇨작용을 도와줍니다.

이런 해독작용 외에도 구충작용과 약물중독 치료제로 이용됩니다.

구충제로 이용할 때에는 호박을 날로 얇게 저며 아이에게 먹이면 가벼운 설사를 하는데 이때 체내의 기생충을 배출 시킵니다.

또 호박씨를 진하게 달여 먹여도 같은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또 백일해를 앓는 아이에게도 좋은 약이 되며, 목이 아플 때는 말린 호박씨에 각설탕을 넣고 졸여서 마시면 통증을 진정시킵니다.


◎ 콩제품 

콩은 단백질과 지방이 풍부한 영양식품.

콩에 들어있는 레시틴은 뇌의 30%나 들어있어 신경질 적이고 짜증을 잘내는 아이에게는 좋은 식품입니다.

콩을 이용한 두유는 코의 유효성분을 모두 소화되기 쉬운 모양으로 만든 것으로 이 두유를 미지근하게 데워 잠자기 전에 먹이면 쉽게 잘 수 있습니다.

또 콩을 가공한 두부는 지방을 줄이는 성분이 있어서 비만을 예방하거나 성장 중에 지나치게 비만인 아이들에게 적합한 식품입니다.

특히 소아비만은 소아성인병의 이유가 되기도 하므로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데, 두부에는 리놀산이 듬뿍 들어있어 콜레스테롤치를 낮춰주는 작용을 합니다.

특히 두부는 열을 내려주고 염증을 가라 앉혀주는 찜질약으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얼음보다 더 효과적이므로 아이가 열이 심할 때 사용해 보는 것도 좋겠습니다.

두부찜질약-두부를 헝겊으로 싸서 물기를 꼭 짠다음 곱게 으깨서 밀가루와 섞어 반죽을 만듭니다.

이것을 1cm정도의 두께로 펴서 거즈에 싼 다음 열이 오른 아이의 이마에 얹어줍니다.


◎ 사과 

사과에 풍부하게 들어있는 펙틴은 장 속에서 유산균의 발효를 돕고 대장균의 번식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으므로 설사를 멎게 하는데 특효약입니다.

소화불량으로 인해 설사를 하는 아이에게는 사과즙을 먹이면 좋지만 가스가 쉽게 차는 아이에게는 너무 많이 먹이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 배 

감기나 편도선염에 의한 갈증이나 통증을 진정시키는 약효가 있습니다.

강판에 배를 갈아 즙을 내서 먹이는 것도 열로 인한 갈증해소에 좋으며, 익힌 배는 천식발작이 심해 기침을 심하게 하거나 가래가 나올 때 먹으면 기침이나 가래를 진정시키는 작용을 합니다 

:

천식

2013. 10. 7. 10:21

호흡기의 고통을 호소하는 천식환자는 이제 우리 주변에서 낯설지 않다.

미세먼지 증가와 흡연인구의 저연령화·집진드기 등 실내환경의 악화가 주원인이다.


같은 환경에 노출돼도 사람에 따라 증상은 크게 엇갈린다.

한의학에서 보면 태음인은 알레르기 체질을 타고 난 사람들이다.

태음인은 주로 간대폐소(肝大肺小)한 체질로 기침 때문에 고생하고, 소양인은 상초열로 호흡곤란이 많았다.

이에 반해 소음인은 냉한 체질로 인한 가래 발생을 호소했다.


태음인은 상체가 발달한 대신 하체가 약하며 목이 굵고 짧다.

또 복부비만이 많고 심장이 나쁘며 혈압이 높은 타입이다.

이들은 대사활동이 활발해 땀을 잘 흘리지만 몸의 수분대사가 원활하지 못해 폐·기관지 등 호흡기에 수독(水毒)이 쌓인다.

천식이나 비염은 모두 수독과 관련이 있다. '천식은 호흡기의 비염'으로 부른다.

천식의 가래는 비염에서 콧물에 해당되며, 기침은 재채기와 일맥상통하고, 호흡곤란은 코막힘으로 나타난다.


태음인의 천식은 수독을 빼 주는 것에서 시작한다.

땀이나 소변으로 배출시키는데 이때 쓰는 것이 마황·오미자·감초가 든 소청룡탕(小靑龍湯)이며, 여기에 은행이나 금은화 등을 환자의 체질에 맞게 가미해 효과를 높인다.


최근 한의학 논문집에는 이 처방이 70%까지 천식 치료율을 높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마황은 가래를 삭이고 기관지 확장을 도와주는 에페드린 성분이 많아 현대의학에서도 치료에 많이 응용된다.


천식의 원인이 수독에서 오는 만큼 태음인은 대사활동을 돕는 운동과 사우나 등에서 땀을 적절히 빼주는 것이 도움이 된다.

또 영지·더덕·도라지·배꿀 찜은 천식환자의 기관지를 보강하는 효과가 있다.

은행을 하루 6~9개 정도를 구워 먹는 것도 좋다. 단 어린이는 하루 6개를 넘지 않도록 한다.


회피요법도 필요하다. 천식 유발물질인 우유·달걀·콩 등과 인스턴트 식품을 삼가고, 집안을 자주 물청소 해 먼지를 제거한다.

특히 애완동물과 카펫은 금물이다.

:

BLOG main image
by 건강텔링

공지사항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631)
육아상식 (94)
수유 (41)
임신 (67)
이유식 (28)
질병 (42)
건강 (204)
교육 (102)
기타 (52)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글 보관함

달력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Total :
Today : Yesterda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