젖몸살과 수유

2014. 7. 17. 10:49

간혹 젖몸살이 심해서 젖을 끊었다고 이야기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물론 젖몸살이 있게 되면 유방이 부어 있고, 멍울져 있으며, 통증이 있고 간혹 열이 있는 경우도 있어서 수유하기가 쉬은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단순히 젖몸살이 있다고 해서 수유의 금기 사항은 아니며, 오히려 더 자주 아기에게 젖을 빨려야 젖몸살이 치료될 수 있으며, 아기에게도 계속 모유 수유를 성공적으로 할 수 있게 됩니다.

젖몸살이 있을때 치료방법으로는 천으로 가슴을 두러싸거나 온 냉습포를 해서 통증을 감소시켜주는 방법이 있으나, 가장 좋은 치료 방법은 아기가 충분히 젖을 빨아 젖이 잘 흘러 나오도록 하는 방법입니다.

물론 젖꼭지가 갈라지거나, 젖몸살이 심해서 유방염까지 진행한 경우에는 치료를 한 후에 먹이는 것이 좋지만 단순 젖몸살인 경우에는 모유수유의 금기 사항이 아니고 오히려 모유 수유를 해야 빨리 좋아진다는 것을 이해해야 합니다.

'수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유에 관한 궁금증 5가지  (0) 2016.09.23
젖병 소재별 장단점  (0) 2015.06.17
젖몸살 원인과 예방법  (0) 2014.03.14
유선염  (0) 2014.03.03
흔히 사용되는 약물과 모유 수유  (0) 2013.11.21
:

젖몸살 원인과 예방법

2014. 3. 14. 10:48

◆ 젖몸살

분만 후부터 유방이 갑자기 커지면서 딴딴한 덩어리가 생기고 통증이 오며 3~4일경에는 젖이 나오기 시작한다.

이때 찜질과 마사지로 젖멍울을 풀어 주어야하며 아기에게 젖을 빨리지 않거나 짜내지 않으면 전신에 열이 심하게 나는데 이것을 젖몸살이라고 한다.

특히 분만후 4~5일 간의 초유는 반드시 다 나오게 해야 한다. 유방을 불결하게 놓아두면 유두염이나 유선염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출산 후 몸이 회복되는 과정에서 유선이 막히고 유두가 파열되면서 세균이 감염되어 생기는 것으로 관리 미숙으로 발병할 때가 많습니다. 

특히, 젖이 분비되는 시기에 마사지를 제대로 하지 못했거나 끈끈한 초유가 유관을 막을 때 생기기 쉬우며, 아기의 젖을 빠는 힘이 부족한 것도 한 원인입니다.


◆ 젖몸살 예방을 위한 방법

① 뜨거운 물수건으로 유방을 따뜻하게 한다.

② 유방 사이에서 시작하여 유방의 주위를 작은 원을 그리면서 부드럽게 해주는 것을 여러번 반복한다.

③ 엄지를 제외한 네손가락으로 유방의 주위로부터 젖꼭지를 향하여 유방의 전체를 마사지한다

④ 엄지와 검지로 유선의 덩어리를 잡아 심부의 유선을 젖꼭지 방향으로 짜내는 동작을 유방 전체에 걸쳐 각 방면에서 행한다.

⑤ 엄지와 검지로 젖꼭지를 잡아당겨 젖을 짜낸다.

'수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젖병 소재별 장단점  (0) 2015.06.17
젖몸살과 수유  (0) 2014.07.17
유선염  (0) 2014.03.03
흔히 사용되는 약물과 모유 수유  (0) 2013.11.21
모유 수유와 이유식의 시기는?  (0) 2013.08.13
:

유선염

2014. 3. 3. 16:32

젖을 만드는 조직에 염증이 생기는 것으로 모유수유를 중단시키는 큰 이유중 하나입니다.

단순한 젖몸살보다 늦어서 분만 며칠 안에는 잘 생기지 않고 보통 출산후 3-4주에 생기며 항상 양쪽에 생기는 젖몸살과 달리 거의 대부분 한쪽에만 생깁니다.


[원인]

가장 큰 원인은 아이가 젖을 먹으면서 균이 젖꼭지를 통해 들어가는 것인데, 유선염을 일으키는 균은 대부분 신생아의 코나 입에 정상으로 있는 것들입니다.

젖을 먹이지 않으면 유선염도 잘 생기지 않습니다.

아이가 먹은 후에 젖을 모두 짜내지 않거나 젖이 불은 상태로 두면 더욱 잘 생기므로 젖을 먹인 후에 젖꼭지를 깨끗하게 부드러운 비누로 가볍게 씻는 것이 좋습니다.

당뇨병이 있는 산모는 염증이 더 잘 생기므로 철저하게 관리해야 합니다.


[증상]

유선염 증상은 유방의 통증이 유방 전체적으로 생기는 단순 젖몸살 때와 달리 국소적으로 심합니다.

유방이 국소적으로 부어오르고 단단해지며 발갛게 되는데, 열이 나고 춥고 떨리는 몸살 증세가 대부분에서 있습니다.


[유방 농양]

유선염의 약 10%에서 생기는데 너무 늦게 병원에 와서 속에 고름이 고이는 것입니다.

단순한 젖몸살보다 덜 아프고 농양이 생긴 곳을 누르면 오히려 물렁물렁하여 고름이 고여 있는 것을 알 수 있지만 전문가가 아니면 증상으로만 진단이 어려울 때가 많습니다.

그러므로 조금이라도 이상하면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치료]

염증이 생긴 쪽의 젖은 치료가 될 때가지 아이에게 먹이지 말고 짜내도록 합니다.

이 때 항생제의 사용은 아이가 젖을 먹어도 해롭지 않은 것으로 선택합니다.

때로는 치료 중에 우유를 먹이고 치료가 다 되면 다시 젖을 먹이기도 합니다.

농양을 형성하기 전에는 젖을 짜면서 약을 쓰면 증상은 대개 2-3일이면 좋아지지만 일주일은 사용해야 됩니다.

유선염이 심해서 농양을 형성하면 째야 되므로 고생이 많고 흉터도 생길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농양이 생기기 전에 조기 발견하여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수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젖몸살과 수유  (0) 2014.07.17
젖몸살 원인과 예방법  (0) 2014.03.14
흔히 사용되는 약물과 모유 수유  (0) 2013.11.21
모유 수유와 이유식의 시기는?  (0) 2013.08.13
출산 전에 준비하는 모유수유  (0) 2013.07.31
:

BLOG main image
by 건강텔링

공지사항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631)
육아상식 (94)
수유 (41)
임신 (67)
이유식 (28)
질병 (42)
건강 (204)
교육 (102)
기타 (52)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글 보관함

달력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Total :
Today : Yesterda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