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복숭아

복숭아는 대표적인 알레르기 유발 식품. 다른 식품에 알레르기 반응이 있다면 두 돌 이후부터 먹인다. 복숭아에 알레르기가 있으면 입 주위가 붓고 붉어지며, 복숭아를 만진 부위에 두드러기가 생긴다. 

처음 먹일 때는 복숭아를 갈아서 아기 숟가락으로 한 스푼 정도 떠서 먹여보아 이상 반응이 없는지 살핀다. 

알레르기 반응이 없다면 1/ 8개를 잘라 숟가락으로 잘게 잘라서 떠먹이고 갈아서 주스로 먹인다. 


  • 닭고기

닭고기는 부드럽고 소화가 잘되는 편. 하지만 돌 전에 먹일 수 있는 부위는 가슴살 정도다. 가슴살 이외의 부위는 기름기가 많고 씹기 어려워 돌 이후라야 소화시킬 수 있다. 

날개 부위는 기름기가 많으므로 가장 늦게 먹인다. 닭고기는 삶거나 쪄서 먹이고, 껍질에는 지방이 많으므로 벗겨내고 먹인다. 닭 튀김은 두 돌이 가까웠을 때 먹인다. 

아이가 먹기 좋은 크기로 잘라 2∼3번 정도 먹인다. 


  • 키위

키위는 신맛이 강해 돌 전 아이가 먹기에는 자극이 강하다. 또 껍질의 털이 닿으면 알레르기를 일으킬 수도 있다. 키위를 먹은 뒤 입술과 혀 등이 붓거나 입 안이 아리다고 할 때는 키위 알레르기가 있다고 본다. 

신맛이 적고 껍질에 털이 적은 골드 키위부터 먹이고, 그린 키위는 두 돌 이후 조금씩 먹인다. 키위는 위아래 꼭지를 잘라낸 뒤, 세로로 4등분 해 가운데 하얀 심 부분을 잘라내고 먹인다. 

처음에는 1/4개 정도 과육만 갈아 숟가락으로 떠먹이다가 익숙해지면 과육을 먹기 좋은 크기로 잘라 먹인다. 두 돌 무렵이라도 한 번에 한 개를 넘지 않는 게 좋다. 


  • 돼지고기

육류 중 가장 늦게 먹여야 할 것이 돼지고기. 소화가 잘 안 되고 기름기가 많아 유아식을 시작하는 생후 15개월 전에 먹여서는 안 된다. 

기름기 없는 살코기로 골라서 갈거나, 기름 부위는 떼어낸 뒤 푹 익혀서 먹인다. 미리 갈아 둔 고기를 사는 것보다는 구입할 때 갈아달라고 하는 것이 위생적. 힘줄이나 기름은 조리 전에 다시 한 번 확인해 제거한다. 

갈아서 익힌 고기라면 어른 숟가락 으로 한 스푼부터 시작한다. 두 돌 무렵 돈가스로 조리해 먹인다면 3∼4점 정도 먹인다. 

1작은술 정도 떠서 물에 희석해 먹인다. 


  • 벌꿀

벌꿀은 돌 전에 먹이면 영아 보툴리누스증을 유발할 수 있다. 돌 전 아기는 장 기능이 완전하지 않아 보툴리눔균이 장 점막에 흡수되면 식중독의 일종인 보툴리누스증을 일으킨다. 영아 보툴리누스증은 흙이나 먼지, 옥수수 시럽 등에 있는 보툴리누스균에 의해서도 발병할 수 있다. 

변비 증상으로 시작되는 경우가 많고 젖을 잘 빨지 못하며, 온몸이 힘 없이 늘어져 목을 제대로 가누지 못한다. 또한 음식을 제대로 삼키지 못하고 입에 침이 고여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심하면 호흡이 정지되는 경우도 있다. 

돌 전에는 꿀뿐 아니라 꿀 성분이 함유된 과자나 음료도 먹이지 말아야 한다. 당도가 높고 맛이 강하므로 돌 이후 물에 희석해 차로 먹이거나 음식의 단맛을 낼 때 넣어 먹인다. 


  • 조개류

조개류는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위험이 있을 뿐 아니라, 어금니가 발달하지 않은 돌 전 아이는 씹기 어렵다. 조개를 직접 먹이지 않는다해도 국물에 알레르기를 일으킬 수 있는 성분이 우러나오므로 돌 전에는 먹이지 않는다. 

처음에는 맑은 국물로 우려낸 뒤 조개 건더기는 걸러내고 국물만 먹인다. 이상 반응이 없고 아이가 잘 먹는다면 씹기 좋게 조갯살을 잘게 다져 넣는다. 

국 한 그릇을 기준으로 다져 넣은 조갯살의 양은 1/3큰술 정도가 적당하다. 


  • 생우유

젖소에서 짜낸 젖을 가공하고 영양분을 보충해 소화 흡수하기 좋은 상태로 만든 분유와는 달리 생우유는 살균 과정만 거친다. 따라서 장기능이 약하고 알레르기를 일으킬 위험이 많은 돌 전에 생우유를 먹이면 구 토나 설사를 일으킬 위험이 많다. 

돌이 지났더라도 아이가 이유식에 잘 적응하지 못한다면 생우유보다는 분유를 먹인다. 두 돌 이후에는 저지방우유로 바꿔 먹인다. 

하루 500∼700ml 정도가 적당하지만, 억지로 먹일 필요는 없다. 이유식이나 밥으로 영양을 보충해준다. 


  • 면류

면은 정제된 밀을 다시 가공해 만든 것이라서 탄수화물을 제외하면 영양분이 거의 없다. 또한 밀 자체가 찬 성질을 가진 데다 소화가 잘되지 않는다. 특히 기름에 튀긴 라면류는 절대 금해야 한다. 

면류는 부드럽게 넘어가 제대로 씹지 않고 삼키기 쉽다. 아이가 숟가락으로 떠먹을 수 있도록 3cm 정도로 잘라 조리한다. 

면류는 조금만 먹어도 포만감을 느낀다. 처음 한 젓가락부터 시작해 평소 아이가 먹는 밥그릇의 2/3 정도 양을 먹인다. 

'육아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름철 산모의 산후조리  (0) 2013.06.10
분리 불안  (0) 2013.06.05
잘못된 육아상식 TOP 10  (0) 2013.05.09
임신·출산 비용 지원 확대  (0) 2013.04.17
신경질 부리는 아이 다루는 7가지 방법  (0) 2013.03.27
:

고기와 생선

2012. 9. 12. 09:32

단백질, 비타민, 철분의 주공급원이며  6개월 이후에 주는데 곱게 다져서 다른 음식과 섞어서 준다. 

닭고기는 쇠고기보다 소화가 잘되고  쇠간은 철분이 풍부하다. 

생선은 육류보다 부드럽고 소화가 잘 된다. 

소시지나 햄 등은 식품첨가물과 염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좋지 않다. 

6개월부터 고기국(살고기만 푹 고운 국)부터 갈은 고기와 쇠간을 시작할 수 있으며 8-9 개월에는 양을 늘린다.

갈은 고기는 상하기 쉬우므로 1-2 일 이내 사용한다. 

갈은 고기를 한번 더 다지면 부드럽다.  

만  2세까지는 지방섭취를 제한하지 않는다. 

성장과 발육에 중점을 두어 적절한 균형잡힌 식사를 해야 하며 바람직한 습관은 영유아기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이유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식 알러지  (0) 2012.12.05
우유병은 언제까지 사용하나?  (0) 2012.09.13
보충식에서 조심해야 할 음식  (0) 2012.09.12
계란  (0) 2012.09.10
요쿠르트  (0) 2012.09.10
:

보충은 조금씩 덜어 먹이고, 한번 먹일 만큼씩 덜어 식혀서 바로 냉동시키며 냉동시킨 것도 될 수 있는 대로 빨리 먹는다. 

날고기, 닭고기와 계란 껍질은 장티푸스의 원인인 살모렐라균에 오염되어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반드시 잘 익혀 먹어야 하고 요리를 한 후에는 모든 조리 기구를 뜨거운 물로 씻고 세제로 닦는다. 

만졌던 손도 물론 자주 닦아야 한다. 

날고기는 간혹 세균에 오염되어 있는 경우가 있는데 야채와 고기의 조리시간이나 조리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균이 퍼질 수 있다.


'이유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기와 생선  (0) 2012.09.12
보충식에서 조심해야 할 음식  (0) 2012.09.12
계란  (0) 2012.09.10
요쿠르트  (0) 2012.09.10
보충식과 변  (0) 2012.09.10
:

BLOG main image
by 건강텔링

공지사항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631)
육아상식 (94)
수유 (41)
임신 (67)
이유식 (28)
질병 (42)
건강 (204)
교육 (102)
기타 (52)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글 보관함

달력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Total :
Today : Yesterda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