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마철 식중독

2014. 6. 23. 14:35

장마철의 고온다습한 날씨는 식중독을 일으키는 세균이 잘 자랄 수 있는 더없이 좋은 환경이다.

장마철은 습도가 80%를 넘기 쉽고 기온이 25도만 되어도 식중독을 비롯한 전염성 질환 주의보가 내려진다.


식중독은 세균성으로 대장균에 의한 것이 가장 많다.

짧은 시간 내 폭발적으로 늘어나 1마리에 세균이 4시간 이후 수백만 마리로 증식된다.

상한 계란이나 오래된 우유 등 부패한 음식에서 증식하며 독소를 생산하는데 대부분 수 시간에서 1~2일 정도가 지난 후 구토와 설사, 복통이 나타나고 열은 나지 않는다.

탈수를 막기 위해 보리차에 설탕과 소금을 조금씩 타서 마시게 하는 것이 좋다.


식중독 예방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위생적인 환경에서의 조리가 필수적이다.

날 음식보다 충분히 익힌 요리를 먹고 일단 만든 음식은 오래두지 말고 신속히 먹는 것이 좋다.

식기나 조리기구 위생에도 신경 써야 한다.


복통이나 구토, 설사 등 식중독 증상이 있다고 해 무조건 항생제나 지사제를 먹기보다는 물을 많이 마시고 안정을 취하는 것이 우선이다.

증상이 심해져 고열, 혈변, 탈수가 있다면 바로 병원을 찾아 적절한 치료를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식중독은 면역력이 약한 어린 아이, 노인에게서 패혈증과 같은 치명적인 합병증을 유발시킬 수 있으므로 원인물질을 제거하는 신속한 조치가 필요하다.


이외에도 여름철 오염된 물과 음식을 통해 감염되는 질환에는 이질, 장티푸스, 콜레라 등 이 있다.


장티푸스는 40도에 이르는 고열, 두통, 근육통, 복통의 증상이 생기는데 감기몸살로 종종 오인되기도 한다.

증상이 심하면 오래가고 복막염과 같은 심한 합병증이 생길 수 있으므로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좋다.

콜레라는 산에 매우 약해 위산에 죽는 경우가 많지만 위절제술을 받았거나 제산제를 복용한 사람에게서 잘 발생할 수 있다.

쌀뜨물이나 물 같은 설사가 주 증상이다.

이질은 이질균에 의한 감염으로 설사, 발열, 복통이 생기며 주로 소아에서 많이 발생한다.

혈변이 소량씩 나오는 것이 특징이다.

산에 강해 위산을 통과해도 죽지 않는다.

심하면 하루에 20~40번까지 설사를 할 수 있다.

일단 환자가 발생하면 빨리 격리시키고 손을 열심히 씻도록 한다.

위 질환들은 모두 증상이 있으면 바로 병원을 방문해 항생제를 조기에 사용하고 수액으로 탈수를 막아야 한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름철 아토피 관리 수칙  (0) 2014.06.24
DHA 풍부한 ‘브레인 푸드’ 참치  (0) 2014.06.24
설사 이기는 법  (0) 2014.06.17
아동의 카페인 섭취  (0) 2014.06.17
환경호르몬 비스페놀A란?  (0) 2014.06.12
:

◇ 아이들은 스트레스 극복 능력이 부족해요.


스트레스는 정신적 증상뿐만 아니라 신체적 증상과 행동적 증상도 일으킨다. 스트레스 때문에 생기는 정신적 증상은 불안, 긴장, 사소한 일에 짜증이 나는 것, 생활의 기쁨을 상실 하는 것, 분노 등으로 나타난다. 


스트레스로 인한 행동적 증상은 건망증, 집중력 저하, 학업수행능력의 저하, 식욕의 감퇴 또는 증가, 과수면 또는 불면증, 충동적 행동, 강박적인 TV시청이나 컴퓨터 게임 집착 등이 있다. 


뿐만 아니라 신체적 증상도 나타날 수 있는데 여기에는 두통, 근육통, 위장 장애, 면역기능의 약화, 피로감, 전신 쇠약감, 자율신경계 변화(심계항진, 과호흡) 등과 같이 다양한 신체적 변화를 일으킨다. 


소아·청소년기의 가장 대표적인 스트레스로는 학업 스트레스, 또래 관계의 어려움, 사춘기 변화, 열등감, 학교 부적응, 부모·자녀 관계의 악화, 부모의 불화와 같은 가정환경 변화가 있다. 


이러한 스트레스들은 흔히 만성적이어서 단기간에 없애기가 어렵고, 장기간에 걸쳐 서서히 아동과 청소년들의 심리 발달에 영향을 미치게 되며, 새로운 스트레스가 가중되어 겹쳐지면서 불안장애, 학습 부진, 주의집중력 장애, 우울증, 행동 장애, 수면 장애, 인터넷 중독 등의 질병으로 진행하게 된다. 


어른과 달리 소아·청소년은 스트레스를 견디고 극복하는 능력이 아직 충분히 발달하기 전이고, 스트레스 요인을 정확하게 감지하는 능력도 미숙해 부모가 미처 원인을 알기 전에 다양한 신체적, 행동적 변화가 나타날 수 있다. 


소아·청소년 스트레스는 아이의 표정이 무표정하며 우울해보이고, 불안해한다거나 쉽게 짜증을 내고 공격적 성향 등의 초기 증상을 보인다.

자녀에게 이런 초기 증상들이 나타나면 아이가 성격이 이상해졌다거나 단순히 사춘기라서 그렇다고 생각하지 말고 아이와 함께 전문의를 찾아가는 것이 좋다. 


◇ 스트레스 관리 능력 배양이 중요 


소아청소년은 스트레스를 극복하는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어려서부터 스트레스를 예방하고 관리하는 능력을 배우고 연습하는 것은 소아청소년의 정서 발달에서 아주 중요하다. 


다음은 소아청소년의 스트레스 예방 및 관리법. 


△ 시간관리하기

해야 할 일에 순서를 매기고, 중요한 일에 먼저 시간을 배정하는 연습을 한다. 


△ 문제해결 능력 배우기

스트레스로 느끼는 문제가 무엇인지 파악하기와 구체적인 해결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가족과 의견을 나누고 가장 좋은 방법을 찾아보는 연습을 한다. 


△ 자기 주장 능력 키우기

솔직하게 자신의 입장을 남에게 설명하기,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지 않는 선에서 자신의 권리를 주장하기, 타인의 부탁을 정중히 거절하기 등의 연습을 한다. 


△ 스스로 자기 돌보기

잠을 잘자기, 잘 먹기, 위생을 잘 지키기, 규칙적으로 운동하기, 근육 이완 훈련을 배우기가 포함된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기 체온이 얼마면 열이 있다고 봐야 할까?  (0) 2014.03.10
코피 (비출혈)  (0) 2014.03.05
미세먼지 어떻게 대처할까?  (0) 2014.02.25
과일-채소의 색 맛 효능  (0) 2014.02.25
열성경련  (0) 2014.02.24
:

BLOG main image
by 건강텔링

공지사항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631)
육아상식 (94)
수유 (41)
임신 (67)
이유식 (28)
질병 (42)
건강 (204)
교육 (102)
기타 (52)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글 보관함

달력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Total :
Today : Yesterda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