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기 기저귀 갈기

2012. 9. 24. 13:37

기저귀는 하루 24시간 아기엉덩이에 있어야 하는 필수품이므로 엉덩이 건강과 상쾌한 기분을 위해서 바르게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기저귀 사용법에 대해서 정확하게 알아두자.

1. 기저귀 갈기 실전

이제 기저귀 갈기에 도전해보자. 처음 기저귀를 갈 때는 누구나 당황하게 된다. 하지만 순서에 따라 몇 차례 계속하다보면 기저귀 가는 방법이 손에 익어서 능숙하게 할 수 있게 될 것이다.

1) 전용 매트를 이용한다.

기저귀를 가는 동안 겉싸개 등에 대변이 묻을수 있으므로 이를 막기 위해 기저귀 전용 매트를 준비하는 것이 좋다. 아기 용품 전문점에서 전용 매트를 구입하는 것도 좋고, 신문지나 비닐 가공이 되어 있는 작은 천을 이용하면 세탁이 편해진다. 귀여운 그림이 그려져 있는 작은 비닐 풀을 이용한다면 장난감을 주는 효과까지 얻을 수 있다.

2) 아기를 반듯하게 눕히고 엉덩이를 들게 한다.

갓 태어난 아기의 몸의 팔은 W자 형으로, 다리는 M자 형으로 무릎을 굽히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기저귀를 갈 때에나 엉덩이를 닦을 때에도 아기의 자연스러운 상태인 이러한 자세를 항상 유지하도록 한다. 잘못된 기저귀 갈기에 의해서 이 자세가 영향을 받으면 고관절에 무리를 일으킬 수 있다.


3) 기저귀를 펼친 상태에서 엉덩이를 닦아준다.

기저귀에 묻은 변의 상태를 주의하여 살피고, 기저귀를 가는 동안 몸을 뒤척이다가 옷을 더럽힐 수 있으므로 윗옷은 집게로 고정시킨다. 거즈 수건이나 물수건으로 아기의 엉덩이에 묻은 대변을 닦아주고, 등에도 묻었으면 물로 깨끗하게 닦아 낸다. 천 기저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기저귀의 더러워지지 않은 부분을 이용하여 닦아도 된다. 종기기저귀는 아래로 살짝 내려 변이 묻지않게 하면서 닦은후에 기저귀를 뺀다.


▶ 용변 닦는 법

- 엉덩이를 닦은다음에는 항문주름사이도 잘 닦는다.

- 모유수유아는 배변이 무르기 때문에 다리나 배의 접힌 부분에 끼기 쉬우므로접힌부분을 위에서 아래로 잘 닦아준다.

-남자 아이는 음낭 밑이나 고추 주변에 대변 찌꺼기가 묻어 남아있기 쉬우므로 꼼꼼하게 닦아준다.

- 여자 아이는 성기에서 항문방향으로 닦아서 성기가 변에 있는 대장균에 의해 감염되는 일이 없도록 하며 안쪽을 닦기 위해 음순을 잡아당기지 않도록 한다.


4) 보송보송 건조시킨다.

아기와 놀아 주면서 보송보송하게 마를 때까지 기다리고, 기저귀가 닿는 피부에는 파우더나 로션을 발라주는 것도 좋다.


5) 새 기저귀를 채운다.

새 기저귀를 채울때는 허리까지 들어서 새 기저귀를 깔고 다리를 자연스럽게 벌리고 가저귀의 중간부분이 다리사이에 오도록 한다. 남자아기는 음낭밑이 쉽게 습해지므로 음낭을 밀어올리면서 기저귀를 채운다. 이때 배꼽은 가리지 않게 한다. ( 천기저귀의 경우에 남자아이는 앞을 두껍게 하고 여자아이는 뒤를 두껍게 해야 소변의 흡수가 좋다.)


2. 기저귀의 선택

엄마의 고민중에 어떤 기저귀를 선택할 것인가는 큰 고민중에 하나이다. 특히 천기저귀 종이기저귀의 선택은 각각 장단점을 가지고 있다.

1) 천 기저귀

천기저귀는 통기성, 흡수성이 좋고 피부에 자극이 적을 뿐만 아니라, 배변시 바로 불편감을 느끼게 되기 때문에 배변 훈련이 쉬워 기저귀를 빨리 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엄마의 입장에서 보자면 용변을 볼 때마다 갈아줘야 하고 기저귀 빨기와 삶기가 과히 만만찮은 일거리이기 때문에 선택에 용기가 필요하게 된다.

천기저귀를 사용하는 경우에 기저기를 모아 두었다가 1-2회씩 한꺼번에 세탁하도록 한다. 단 기저귀를 5시간 이상 물에 담가두면 세균의 번식으로 기저귀발진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너무 오래 담가두지 않는다. 손빨래후에 삶는 것이 가장 안전하고 소변기저귀는 이틀에 한번, 대변기저귀는 매일 삶는 것이 좋다.


2) 종이 기저귀

종이기저귀에는 일자형과 밴드형이라 불리는 접착식 팬티형, 그리고 입히는 팬티형 등 여러 가지 종류가 있다. 일자형은 움직임이 많지 않은 영아용으로 소변양이 적고 횟수가 잦은 신생아에서 사용할수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 소변이 새는 경우가 많아 사용하기에 불편감이 있다. 팬티형은 소변량과 움직임이 많은 5-6개월령부터 사용하였으나 최근에는 신생아용으로도 많이 나오고 있다. 입히는 팬티형은 활동이 편하기 때문에 걷거나 뛰는 아가들에게 적합하다.

종이 기저귀를 고를 때는 통기성과 흡수력이 좋은지, 개더가 있어 샘 방지 기능이 있는지를 살펴보고 사이즈와 성별을 고려하여 구입한다. 기저귀를 찼을 때 편안함은 허벅지를 감싸는 옆선에 따라 결정되는데 주름의 탄력이 좋아 허벅지가 조이지 않는 것을 골라야 합니다. 고정 테이프는 접착식과 찍찍이 형태가 있는데 접착식은 여러 번 부드럽게 붙였다 뗄 수 있어 좋고 찍찍이는 파우더 등의 이물질이 묻어도 접착력이 우수하다는 점이 좋다. 허리 밴드는 전체적으로 두른 것보다 주름 부분에만 두른 것이 덜 답답하다.

기저귀 선택에 있어서 가장 고려되는 점이 기저귀 발진이다. 어떤 기저귀가 기저귀발진예방에 좋은가는 의견이 분분하지만, 어떤 기저귀이든 깨끗한 기저귀를 자주 갈아주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특히 종이기저귀를 시중에 너무나 많은 제품들이 나와 있는데 비싼 것이 아기에게 가장 좋다고 볼수는 없다. 무엇보다도 우리 아기에게 맞는 기저귀를 잘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육아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9개월 무렵의 아기체조  (0) 2012.10.17
건강체크(9개월째)  (0) 2012.10.17
건강체크(6개월째)  (0) 2012.09.24
아기 차 안전 시트에 앉히기  (0) 2012.09.19
신생아 통목욕 (전신 목욕)  (0) 2012.09.17
:

건강체크(2개월째)

2012. 9. 13. 15:43

1. 몸무게를 잽니다. 몸무게가 꾸준히 잘 늘고 있는지 알아봅니다. 아기의 영양 상태를 알아보는 기준이 됩니다.

2. 머리둘레를 잽니다. 뇌가 순조롭게 자라고 있는지의 기준이 됩니다. 잘 늘지 않거나 너무 많이 늘지는 않은지 알아봅니다.

3. 머리를 살펴봅니다. 머리가 유난히 찌그러진 모양이 아닌지 살핍니다. 대천문이 잘 열려 있는지 만져봅니다. 머리뼈가 서로 연결된 부위의 상태를 살펴봅니다.

4. 눈을 검진합니다. 아기가 가까운 물체에 시선을 맞추고, 가까이에서 천천히 움직이는 물체를 잠깐이라도 따라가며 보는지 살핍니다.

5. 소리에 대한 반응을 살핍니다. 생후 2개월 된 아기는 주변의 다양한 소리에 반응을 보입니다.

6. 목을 살펴봅니다. 목 양쪽 근육에 단단한 응어리가 만져지거나, 아기가 고개를 어느 한쪽으로만 기울기고 있지는 않은지 보아 사경 여부를 체크합니다.

7. 가슴을 검진합니다. 청진기로 호흡음을 들어 호흡이상 증세가 있는지 알아봅니다. 심장 소리도 들어보아 선천성 심질환, 부정맥은 없는지 검사합니다.

8. 배를 진찰합니다. 배가 유난히 부르지는 않은지 살펴보고, 장이 움직이는 소리는 정상인지 청진기로 들어봅니다. 배를 가볍게 눌러가며 덩어리는 만져지지 않는지 살핍니다. 사타구니에서 양쪽의 맥박을 짚어봅니다.

9. 외부 성기를 진찰합니다. 남자 아기는 음낭을 살펴보고, 고환이 양쪽 다 만져지는지 알아봅니다. 사타구니 주름 부위가 불룩하게 부풀어 오르지는 않았는지 살핍니다.

10. 사지와 고관절을 검사합니다. 

사지와 고관절을 잡고 움직여 봅니다. 아기의 가랑이가 벌어지는 각도가 작거나 엉덩이 관절(고관절)을 움직일 때 소리가 나거나, 양쪽 다리 안쪽 주름이 비대칭이거나, 무릎 높이가 다르면 선천성 고관절 탈구를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사지가 힘없이 축 늘어지거나 혹은 너무 뻣뻣하지는 않은지 살핍니다.

11. 발달 상태를 검진합니다. 

아기를 엎드린 자세로 눕혀 두면 머리를 45도 정도까지 들어 올리는지 살펴봅니다. 세운 자세로 안았을 때 잠깐이나마 머리를 가눌 수 있는지 알아봅니다. 손에 물건을 쥐는지 알아봅니다. 아기가 자신의 요구 사항에 따라 다양하게 다른 목소리를 내며, 엄마가 말을 걸거나 달래주면 미소로 반응할 수 있는지 알아봅니다.

'육아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따로 재우기  (0) 2012.09.14
우는 아기, 곧바로 달래지 말아야 하는 이유  (0) 2012.09.13
아기 재우기  (0) 2012.09.13
만 6개월 무렵부터의 아기체조  (0) 2012.09.13
만 3개월 무렵부터의 아기체조  (0) 2012.09.11
:

BLOG main image
by 건강텔링

공지사항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631)
육아상식 (94)
수유 (41)
임신 (67)
이유식 (28)
질병 (42)
건강 (204)
교육 (102)
기타 (52)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글 보관함

달력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Total :
Today : Yesterda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