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 몸의 온도는 하루에 1℃ 정도의 범위 내의 변동이 있을 수 있어 하루 중 아침이 제일 낮고, 몸의 측정 부위에 따라 체온 차이가 있습니다.

또 연령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여, 일반적으로 나이가 어릴수록 체온이 높아집니다.

1세 이하는 36.5-37.5℃, 3세 이하는 36.2-37.2℃가 정상적인 체온이고, 7세가 넘으면 어른과 비슷한 36.6-37℃가 정상적인 체온이 됩니다.

체온은 일반적으로 신체의 4곳에서 측정할 수 있습니다.

겨드랑이, 입, 직장, 귀의 고막입니다.


열의 의학적 정의는 직장 체온이 섭씨 38도 이상일 때로 정의되지만, 일반인들이 직장 체온을 재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겨드랑이와 귀 체온을 주로 재게 됩니다.

고막으로 체온을 잴 경우는 섭씨 38℃ 이상이면 확실히 열이 있다고 보아야 합니다.

고막으로 체온을 잴 경우는 정상 체온 범위가 섭씨 35.8-37.9℃이고 그 이상이면 확실히 열이 있다고 보아야 합니다.

고막에서 열을 잴 때 주의하여야 할 것은 귓구멍에 체온계를 빈틈이 없게 대고 열을 재야 한다는 것입니다.

측정 시간이 짧고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정확성은 측정 방법에 따라 다소 떨어질 수 있습니다.


흔히 체온을 재는 곳은 겨드랑이입니다.

겨드랑이에서의 정상 체온 범위는 섭씨 35.3-37.3℃ 입니다.

섭씨 37.4℃ 이상일 때에는 열이 있는 것으로 보아야 합니다.

수은 체온계의 경우는 5분 정도 열을 재야하고, 전자 체온계의 경우는 소리가 날 때까지 재거나 체온계에 따라 40초 정도는 열을 재어야 합니다.

겨드랑이는 외부온도에 영향을 많이 받고 측정시간이 길며, 때문에 정확성이 다소 떨어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직장으로 체온을 재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참고로 직장의 체온은 입이나 귀, 겨드랑이에 비해 온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른 외부 요인들이 적어서 좀 더 정확하다고 평가되고 있지만, 다른 단점들이 많아서 잘 사용되지 않는 방법입니다.

단점으로는 체온계가 직장의 여러 부위에 놓을 수 있으므로 측정치가 불확실하고, 잘못하면 직장 점막을 다칠 위험이 있고 열이 높은 사람에서는 오히려 체온이 정확히 나오지 않는다는 점 등이 있습니다.

정상 체온 범위는 섭씨 36.6-37.9℃이고 섭씨 38℃ 이상이면 열이 있는 것으로 보아야 합니다.

수은 유리 체온계의 경우는 3분 정도 열을 재야하고, 전자체온계의 경우는 소리가 날 때까지 재거나 체온계에 따라 30초 정도는 열을 재어야 합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의 종류  (0) 2014.03.18
위염이란?  (0) 2014.03.11
코피 (비출혈)  (0) 2014.03.05
소아청소년의 스트레스 예방 및 관리법  (0) 2014.02.28
미세먼지 어떻게 대처할까?  (0) 2014.02.25
:

체온은 오전보다는 오후에 높고, 움직임이나 식사 후에는 상승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10분 정도 차분한 상태를 유지한 후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일반적으로 체온은 겨드랑이 밑에서 측정하게 되는데, 이때 겨드랑이의 땀은 깨끗하게 닦고 측정해야 정확합니다. 수은 체온계의 경우 수은주가 36도 이하로 내려갈 때까지 잘 흔들어 준 후 사용하여야 하며, 체온계의 수은이 있는 쪽을 겨드랑이에 끼고 사이가 뜨지 않도록 팔을 가볍게 누르고 약 5분 후에 체온계를 빼어 눈금을 읽습니다.

항문에서 체온을 잴 경우에는 항문용 체온계를 꼽기 전에 미리 수은의 끝부분에 오일을 발라서 항문에 들어가기 쉽도록 합니다. 아기를 옆으로 눕히고 양쪽 다리를 구부린 자세로 하거나 바로 누운 자세에서 아기의 양 다리를 들어 올려 발을 배에 붙이는 자세로 한 후 체온계를 항문에 넣습니다. 혹은 아기를 엄마의 무릎위에 엎드린 자세로 하기도 합니다.

체온계는 항문에서 3센티 정도 넣고 항문을 손가락으로 가볍게 눌러 5분 정도 고정시키면 정확하고 안전하게 잴 수 있습니다.

항문에서 잰 체온은 겨드랑이에서 잰 체온보다 0.5~1도 높습니다.

기타 체온계를 이마 등의 피부에 접촉시키거나, 체온계의 센서 부위를 귀 구멍에 가볍게 밀어 넣는 방식으로 측정할 수도 있습니다.

맥박이나 호흡수는 정확한 횟수의 측정보다 아기가 호흡을 잘 하고 있는지, 안색은 괜찮은지 등을 세심하게 체크하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아기가 놀 때, 울 때, 열이 오를 때는 맥박수가 증가합니다. 정상적인 맥박수는 아기가 자고 있을 때 재는 것이 정확합니다. 아기는 어른에 비하여 맥박수가 빠릅니다.

맥박은 손목 안쪽의 엄지손가락 쪽에서 잴 수 있고, 머리나 목의 동맥에 손가락을 가볍게 대고 재는 방법도 있습니다.

시기별 정상 체온·맥박·호흡
구분신생아영아유아
체온(℃)

36.7~37.5

36.8~ 37.3

36.6~37.3

맥박

100~180

120~140

90~120

호흡

40~50

30~40

20~30

(맥박과 호흡은 1분 동안의 횟수)


'육아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기 안는 기본 방법  (0) 2012.09.17
약 종류별로 쉽게 먹이는 요령  (0) 2012.09.17
신생아 목욕 시키기  (0) 2012.09.17
약 먹이는 방법과 요령  (0) 2012.09.17
건강체크(4개월째)  (0) 2012.09.17
:

BLOG main image
by 건강텔링

공지사항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631)
육아상식 (94)
수유 (41)
임신 (67)
이유식 (28)
질병 (42)
건강 (204)
교육 (102)
기타 (52)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글 보관함

달력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Total :
Today : Yesterda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