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갱년기 대처 방안

2014. 6. 25. 10:19

갱년기란?

갱년기라 함은 여성이 출산할 수 있는 시기에서 출산할 수 없는 시기로 전환되는 시기로써 보통 40-60세 연령층을 말합니다. 갱년기 외에 중년기, 폐경기라고도 합니다.

폐경이란 월경이 끝나는 것을 의미합니다. 보통 몸에 다른 문제가 없으면서 12개월 이상 월경이 없을 때 확실히 '폐경'이라고 말합니다. 폐경은 질병이 아니며 난소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의 생산이 점차 감소하여 나타나는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폐경은 모든 여성에게 나타나지만 증상은 사람마다 모두 다릅니다. 어떤 여성은 폐경으로 월경도 하지 않고 피임도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더 자유롭게 느낀다고 합니다. 폐경은 인생의 또 다른 부분으로 가는 다리와도 같습니다. 폐경기의 대부분의 여성들은 젊었을 때보다 더 자신감을 느끼고, 더 활기차며 더 적극적이 된다고 말합니다. 그러나 어떤 여성들은 폐경으로 중년의 정서적 사회적 위기를 맞이하게 되고, 심각한 건강문제도 생길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폐경은 좀더 세심하게 건강관리를 하라는 신호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갱년기의 대처방안


  • 칼슘 섭취 : 골 소실의 속도를 감소시킴

칼슘 1일 필요량 : 800∼1000mg 갱년기 칼슘 1일 필요량 : 1000∼1500mg (50% 이상 동물성 칼슘 섭취)

우유 및 유제품 : 200㎖당 칼슘 300mg 함유

잔뼈 생선(멸치·뱅어포) : 멸치 큰 것 1일 10마리

※ 35∼40세 사이에 엑스선 골밀도 측정 실시

  • 규칙적인 운동

걷기운동 1일 30분 : 땀이 흠뻑 날 정도로 주3회 이상 실시

전신을 움직일 수 있는 운동 실시

  • 비타민 d·단백질 섭취

소장에서 칼슘 섭취를 도와주는 작용을 함.

  • 금주, 금연, 카페인 삼가
  • 호르몬 투여(에스트로겐)

- 에스트로겐 호르몬의 체내 작용

뼈의 대사를 감소 시키고 파골세포의 작용이나 동원을 억제하여 골 소실을 방지

장관에서 칼슘 흡수를 촉진시키고 뇨에서 칼슘 배설을 억제하여 칼슘 평형 유지

- 호르몬 투여 목적

안면 홍조, 비뇨생식기 위축, 골다공증, 동맥경화증 예방

- 호르몬 약제

합성 에스트로겐 : 폐경기 호르몬 보충요법으로 부적합

자연 에스트로겐 : 경구용, 질정, 경피 투여

  • 뇨실금 예방

케겔운동실시 : 1일 3회 1회시 500∼600회 실시

케겔운동이란? 소변시 대변을 참는 것처럼 항문 괄약근을 5초쯤 조였다가 다시 느슨 하게 하는 방법을 익힌 후 운동실시

  • 성적 반응 주기의 변화에 대한 대처 방안

성적 반응 주기의 변화를 알고 부부가 서로 협조한다.

성교시 동통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성교 전 윤활제를 사용한다.

폐경이 성욕의 상실을 의미한다는 증거는 없으며 임신의 공포에서 해방되므로 성욕의 증가를 가져올 수 있다. (제2성 부흥기)

나이가 들어가는 여성은 나이는 들지만 성행위에서 오는 감각적 쾌감은 줄어들지 않고 지속된다. (여성의 성욕은 47세 때 가장 강함)

  • 갱년기를 맞이하는 마음자세

폐경기를 자연스런 사건으로 받아들이고 폐경기를 부정하거나 질병으로도 취급하지 말며 여성 자신이 스스로 적응할 수 있도록 최상의 방법을 강구 하여야 한다.

자아성취감 획득(직업선택)으로 신체적 변화에 대한 심리적 사회적 대처 방안을 모색한다.

:
BLOG main image
by 건강텔링

공지사항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631)
육아상식 (94)
수유 (41)
임신 (67)
이유식 (28)
질병 (42)
건강 (204)
교육 (102)
기타 (52)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글 보관함

달력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Total :
Today : Yesterda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