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먼저 타일러 보세요.
아이가 실수 했을 때 야단을 치면 반발심이 먼저 듭니다.
그렇기 때문에 아이가 처음 저지른 실수에 대해서 차분하게 타일러 보세요.
2. 설명으로는 부족해요.
아이의 잘못된 행동을 설명만으로는 나쁜 버릇을 바로 잡을 수 없죠.
이런 경우 아이의 잘못을 지적하고 야단친 후에 앞으로의 행동에 대한 가르침이 따라야 합니다.
3. 일관성을 갖고 꾸짖으세요.
똑같은 행동을 했을 때 일관성 없이 꾸짖으면 안돼요.
일관성 없는 상황에 아이는 혼란을 겪어 반성보다는 반발심을 갖게 됩니다.
4. 원칙을 정하세요.
매를 들어야할 때에는 나쁜 버릇의 결과를 경고한 후 야단을 쳐야 합니다.
매의 원칙을 정해놓은 후 아이가 잘못된 행동을 하면 확인 후 체벌을 하세요.
5. 그 자리에서 바로 야단치세요.
야단을 치거나 매를 들어야하는 타이밍은 바로 그 자리입니다.
나중에 아이를 야단친다면 아이는 무엇 때문에 혼났는지 잘 모르기 때문입니다.
6. 남이 보는 앞에서는 꾸짖지 마세요.
칭찬은 남 앞에서 하고 꾸짖는 것은 조용히 해야 합니다.
야단 자체가 아이에게 수치심과 불쾌감을 줄 수 있기 때문이죠.
7. 한 가지 잘못만 지적하세요.
아이를 꾸짖을 땐 잘못된 행동 한가지만 지적하고 다시는 언급하지 마세요.
그렇지 않으면 아이는 항상 나쁜 아이라 생각해 자포자기에 빠져 버린 답니다.
8. 왜 그랬는지 이유를 들어보세요.
기준에 어긋났다고 해도 아이에게는 나름대로 이유가 있어요.
아이가 만약 잘못했다면 왜 그랬는지 이유부터 들어보세요.
그런 후 아이에게 왜 그런 행동이 좋지 않은지 설명해주는 것이 좋아요.
9. 아이와 함께 벌의 내용과 기준을 정하세요.
아이가 사고력이 생기면 체벌에 대해서 아이와 합의해 정하세요.
부모가 일방적으로 정해버리면 아이가 지키지 않으려고 하지만 자신이 직접 정한 벌에 대해서는 책임감을 갖게 되니까요.
10. 제 3자를 끌어들이지 마세요.
아이의 잘못된 행동을 판단하는 것도, 야단치는 것도 엄마라는 것을 보여 줘야 아이도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게 됩니다.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4년 초·중·고 학생 교육비 지원 (0) | 2014.03.04 |
---|---|
베이비사인 (0) | 2014.03.04 |
초등학교 입학준비 (0) | 2014.02.25 |
그림책을 많이 읽어주면 좋은 점 (0) | 2014.02.24 |
좋은 유치원/어린이집 고르는 법 (0) | 2014.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