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렴구균(Streptococcus pneumoniae)은 급성 중이염, 폐렴 및 균혈증, 수막염 등 침습성 감염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균 중의 하나이며, 폐렴구균에 의한 침습성 감염은 영아 및 어린 소아와 65세 이상의 고령자에서 발생 빈도가 높습니다.
▶ 폐렴구균는 어떻게 전파될까요?
정상인이나 환자의 상기도에 있는 폐렴구균은 직접 접촉이나 기침이나 재채기로 전파됩니다.
▶ 폐렴구균의 증상은 무엇인가요?
폐렴구균에 의한 감염은 비침습성 감염(부비동염, 중이염, 폐렴 등)과 침습성 감염(수막염, 균혈증 등)으로 구분되며, 성인에서는 폐렴이 가장 흔하고 소아에서는 중이염, 부비동염, 폐렴 및 패혈증 등이 흔히 나타납니다.
▶ 폐렴구균의 치료는 어떻게 하나요?
페니실린의 내성 정도와 감염부위를 고려하여 적절한 항생제 치료가 필요합니다.
▶ 폐렴구균은 어떻게 예방하나요?
폐렴구균 예방접종을 통해 폐렴구균에 의한 감염증 발생을 줄일 수 있습니다.
접종 시기
① 단백결합 백신(10가, 13가) : 생후 2, 4, 6개월에 3회 기초접종, 12~15개월에 추가접종
② 다당질 백신(23가)
- 65세 이상 연령에서 1회 접종
- 비장적출술, 인공와우 이식술, 항암치료나 면역억제요법 시작 시 가능하면 적어도 수술 2주 전에 접종
폐렴구균 무료접종 대상은 생후 2개월~5세 미만(59개월 이하)과 만성질환 및 면역저하 상태의 만 12세 이하 영·유아다.
소아 폐렴구균 무료지원에 따라 무료접종 대상 백신은 총13종으로 늘어났습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양제? 몸에 좋다고 막 먹으면 O양제 (1) | 2014.07.04 |
---|---|
폭염 이기는 레드푸드, 수박의 효능 (0) | 2014.07.03 |
잘 뛰어노는 게 최고의 성장촉진제 (0) | 2014.06.26 |
여름철 아토피 관리 수칙 (0) | 2014.06.24 |
DHA 풍부한 ‘브레인 푸드’ 참치 (0) | 2014.0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