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유수유는 출산 후 엄마의 임신능력이 회복되는 것을 늦춰 줍니다.
엄마가 아직 월경이 시작되지 않았고, 아기의 나이가 6개월 이전이면서, 젖 이외에 다른 보충식을 하지 않으며, 자주 젖을 먹인다면(낮에는 수유간 간격이 4시간, 밤에는 6시간을 넘지 않아야 함) 엄마가 임신이 될 확률은 2% 이하라 합니다.
그 이유는 수유 호르몬의 작용으로 배란이 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출산 후 6주부터 배란 가능
그러나 하루에 최소 5번 이상, 또는 총 1시간 이상 젖을 빨려야만 생리가 억제될 수 있으며, 엄마 젖을 먹인다 해도 빠르면 출산 후 6주에도 배란이 되어 임신이 가능하므로 조심해야 합니다.
젖을 끊으면 보름에서 한 달 사이에 배란이 시작되고 월경이 나타납니다. 그러므로 젖을 먹이는 것만으로 100% 피임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또 이 시기에는 배란일이 일정치 않기 때문에 월경주기법을 이용하는 것도 불가능합니다. 그래서 완전한 피임을 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몇 가지 인공 피임법을 활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합니다.
모유수유 중에도 임신될 가능성 있어요
경구피임약을 먹는 것에 대해서는 약간 논란이 있으나 아기에게 미칠 영향을 생각해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에스트로겐-프로게스테론 복합제제는 젖의 생산을 감소시킬 우려가 있습니다. 따라서 피임약을 사용할 경우에는 프로게스테론 단독제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수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첫 돌 전에 생우유는 먹이지 마세요. (0) | 2012.12.11 |
---|---|
직장과 모유수유 (0) | 2012.12.07 |
모유 먹이는 엄마를 위한 영양 (0) | 2012.09.11 |
유방울혈 (0) | 2012.09.11 |
유두 통증을 줄이기 (0) | 2012.09.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