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신'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13.09.10 어린이에게 쌀이 좋은 이유

▲ 소화흡수율이 높다. 

= 쌀은 밀가루나 다른 곡류에 비해 소화가 잘된다. 쌀의 주성분인 녹말은 복합 탄수화물로 포도당, 설탕 등의 단순 탄수화물에 비해 훨씬 위에 부담을 덜 주기 때문이다. 아이에게 처음 이유식을 먹일 때 쌀미음부터 시작하는 것 역시 쌀이 소화흡수율이 높아 아이의 미숙한 소화기에 부담을 주지 않기 때문이다. 

밀가루는 몸을 차게 하는 성질이 있는 반면, 쌀은 위장의 기운을 편안하게 하고 속을 따뜻하게 하는 기능이 있어 건강에 좋다. 


▲ 영양이 질적으로 우수하다. 

=  쌀은 탄수화물 식품이라고 생각하기 쉬운데 79%의 탄수화물 이외에 7%의 단백질이 함유돼 있다. 쌀 단백질은 필수 아미노산인 리신이 밀가루, 옥수수, 조보다 2배나 많으며 몸에 흡수되어 활용되는 정도가 높아 질적인 면에서 식물성 식품 중 가장 우수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외에도 쌀에는 뼈를 구성하는 칼슘, 철, 인, 칼륨, 나트륨, 마그네슘 등의 미네랄과 발암물질이나 콜레스테롤 등 몸의 독소를 몸밖으로 배출시키는 섬유질, 비타민 B2, 니아신 등 다양한 영양분이 함유되어 있다. 


쌀과 밀가루의 영양을 수치상으로 비교하면 오히려 밀가루가 더 많은 영양소를 함유하고 있지만, 쌀의 영양분이 질적으로 더 우수한 데다 체내 흡수율이 좋기 때문에 밀가루보다는 쌀을 권한다. 


▲ 소아비만을 예방한다. 

= 쌀의 전분은 몸속에서 소화돼 포도당으로 바뀌는데 이는 활동에 필요한 에너지 공급원이 된다. 포도당 이외에 섭취된 지방과 단백질도 몸의 곳곳에서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나 뇌조직에서는 포도당만이 에너지원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쌀 전분은 뇌가 활동하는 에너지원으로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쌀은 활동에 필요한 에너지가 되는 탄수화물과 성장에 도움이 되는 단백질 함량이 높은 반면, 지방은 밀가루에 비해 3.5배 가량 적어 비만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소아 비만의 경우 성인 비만과 달리 지방세포 수가 증가하므로 올바른 식습관을 길러주어 비만을 예방할 필요가 있다. 


▲ 알레르기 위험이 없다. 

= 서울알레르기클리닉과 한양대 식품영양학과 등이 최근 아토피성 피부염 증세를 보이는 5∼15개월 사이의 영유아 125명을 대상으로 모두 35가지 음식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을 검사한 결과 쌀이 알레르기 반응이 가장 적었다. 


아이들은 장점막이 덜 발달한 데다 면역 기능이 미숙해 알레르기 유발 식품을 먹었을 경우 쉽게 흡수돼 상대적으로 알레르기 반응을 많이 보이지만, 쌀에는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글루텐이 없기 때문에 다른 곡류 알레르기가 있는 아이도 별다른 트러블 없이 먹을 수 있다. 


▲ 설사의 위험이 없다. 

= 장염이 걸린 후 한동안 우유에 예민해져 우유를 먹으면 설사하는 아이가 있는데, 이는 장염이 걸리면 우유를 소화시키는 효소가 잘 파괴되고 회복도 더디기 때문이다. 


이때 소아과 의사들은 쌀로 된 이유식이나 죽, 미음 등을 먹이도록 권한다. 이는 장염이 있다고 하더라도 장점막의 손상에 비해 쌀을 소화하는 효소는 비교적 늦게까지 잘 파괴되지 않기 때문이다. 옛날 할머니들이 설사할 때 아이에게 쌀뜨물을 주던 것은 과학적으로도 근거가 있고 타당한 민간요법이었던 셈이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키 크는데 도움되는 운동  (0) 2013.10.01
일상생활 화학물질, 어린이 IQ 낮춰  (0) 2013.09.27
유아 외출시 응급조치  (0) 2013.09.06
아이의 시력 발달  (0) 2013.09.03
코피가 날땐  (0) 2013.08.28
:

BLOG main image
by 건강텔링

공지사항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631)
육아상식 (94)
수유 (41)
임신 (67)
이유식 (28)
질병 (42)
건강 (204)
교육 (102)
기타 (52)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글 보관함

달력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Total :
Today : Yesterda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