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본부가 일본뇌염 매개 모기의 개체수가 늘어나자 5일 전국에 일본뇌염 경보를 발령했다.

일본 뇌염 경보는 질병관리본부가 전국 38개 지역에서 진행하는 일본뇌염 유행예측사업에서 일본뇌염 매개모기인 작은빨간집모기가 500마리 이상 채집되고, 전체 채집 모기의 50% 이상을 차지할 때 발령된다.


일본뇌염은 작은빨간집모기 가운데 일본뇌염 바이러스를 가진 모기에 물렸을 경우 혈액 내로 전파되는 일본뇌염 바이러스에 의해 급성으로 신경계 증상이 나타나는 감염병이다.

매개 모기에 물린 사람의 95%는 증상이 없다.

그러나 일부에서 뇌염으로 진행돼 고열, 두통, 복통, 경련, 혼수, 의식장애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뇌염이 발생하면 사망률이 높고 회복되더라도 신경계 합병증 발생 비율이 높다.

질병관리본부는 모기가 왕성하게 활동하는 10월 하순까지는 가정에서 방충망을 사용하고 야간에는 모기가 많은 지역의 야외활동을 가능한한 자제하는 등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할 것을 당부했다.

야외활동을 할 때는 긴 소매, 긴 바지를 입고, 모기 기피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

아이가 넘어지거나, 높은 곳의 물건이 떨어져서 머리를 부딪혔을 때, 계단에서 떨어져 머리를 부딪히는 경우가 흔히 있다.

이럴경우에는 우선안정시키고 상태를 관찰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대개는 피부에 혹이 생기는 것만으로 끝나버리지만, 그후 24시간은 가능한 안정하고 상태를 지켜본다.

♣ 급히 병원으로 옮겨야 할 때 

· 우는 소리도 내지 않고, 안색이 자색이 되며 의식이 없어졌을 때 

· 귀나 코에서 출혈이 있을 때 

· 구토, 동공의 이상, 발열, 경련등이 있을 때 

· 상처가 커서 꿰매야 하는 경우 

· 그 당시는 이상이 없어도, 수시간이 지난후에 행동이 이상해 보일 때 


♣ 가정에서의 응급처치 

· 가벼운 상처는 소독약을 바르고 지혈시킨다.

· 혹이 난 경우는 차가운 물로 식혀준다.

· 아이를 안정시켜준다.

· 귀나 코에서 출혈이 있을 경우에는 병원으로 옮기기 전 거즈 등을 대어서 흡수시킨다.


집안에서 넘어지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계단과 마루에 카페트를 깔거나 목욕탕에 매트를 까는 등의 배려가 중요하다.

:

BLOG main image
by 건강텔링

공지사항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631)
육아상식 (94)
수유 (41)
임신 (67)
이유식 (28)
질병 (42)
건강 (204)
교육 (102)
기타 (52)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글 보관함

달력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Total :
Today : Yesterda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