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유는 아기에게 가장 좋은 음식이다. 적어도 돌까지는 모유를 먹어야 하며 돌이 지나서도 아기가 먹고 싶어하면 더 먹여도 좋다. 가능하면 혼합수유도 피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피치 못할 사정으로 눈물을 머금고 분유를 먹여야 한다면 정확히 알고 먹어야 한다. 모유의 우수성이 강조되다보니 분유가 나쁜 것으로 오해하는 분들이 있다. 그러나 분유는 엄마의 모유에 가깝게 만들려고 수십년간 노력한 결과물이다. 모유다음으로 분유이다. 간혹 분유보다 콩으로 만든 음료나 미숫가루 같은 것이 더 낫다고 큰 오해를 하는 엄마들이 있는데 돌까지는 모유, 그게 정 안되면 분유를 먹이는 것이 좋다. 돌전에 분유 대신 생우유를 먹여서는 안 된다.
1. 분유를 탈 때 주의할 점.
① 분유는 끓인 물을 식혀서 사용하는 것이 제일 좋다.
간혹 분유를 타는 물로 일반 맹물이 아니라 아기에게 영양을 잘 공급해주어야 한다면서 보리차, 둥굴레차, 결명자차, 녹차, 멸치 끓은물, 다시마 삶은물 심지어 사골국물 등 별의별 것을 다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는 알레르기가 증가될수 있으며 카페인이나 강한 맛 등으로 인해서 나중에 아기가 이유식을 잘 안 먹게 되는 원인이 될수 있다. 분유에는 필수적인 영양소가 다 들어 있으므로 맹물에 타 먹이는 것이 좋다. 단, 맹물을 1분이상 끓여서 식힌 후에 사용하는 것 가장 좋다.
② 미리 타 둔 분유는 되도록 먹이지 말라.
분유는 고영양식이므로 상하기 쉬워서 탄 즉시 먹이는 것이 좋다. 상온에서도 되도록 30분이상 보관해서는 안 되며, 아기의 입에 한번이라도 닿았던 분유는 두었다가 먹여서도 냉장고에 보관해서도 안 된다. 단 제대로 멸균된 상태로 탄 분유는 24시간까지는 냉장고에 보관가능하며 중탕해서 먹일 수 있다.
③ 분유는 적정한 농도로 타야 한다.
가끔 분유를 묽게 먹이면 설사를 예방한다거나 분유를 좀 진하게 먹여야 영양에 좋다고 생각하는 엄마가 있다. 사실, 급성장염에서 회복되는 초기에 일시적으로 묽게 먹이는 경우가 있으나 아기가 회복되면 바로 정상농도로 먹이는 것이 좋다. 또한, 농도를 너무 진하게 먹이는 경우에 소화가 잘 안되고 비만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분유를 먹을 때에는 분유통에 적인 대로 적정 농도를 먹이는 것이 좋다.
④ 젖병은 정기적으로 잘 소독하여 사용한다.
아이의 면역 상태를 생각한다면 생후 6개월 전까지는 매일 젖병을 소독해준다. 6개월 이후에는 매일 해줄 필요는 없지만 적어도 일주일에 한 번 정도는 소독을 해주는 것이 좋다. 세제로 젖병과 젖꼭지를 씻은 후에 냄비에 젖병이 잠길 정도로 물을 붓고 팔팔 끓여준다. 젖꼭지는 30초 정도 후에 건져내고, 젖병은 3분 후에 건져내는 것이 좋다. 젖병 세정제를 사용할 때는 흐르는 물에 충분히 헹궈주는데, 뜨거운 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2. 분유, 얼마만큼 먹여야 할까?
분유를 먹이는데는 특별한 표준량이라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 우리 아기가 꼭 그렇게 먹어야 하는 것도 아니다. 분유는 월령에 따라 알맞은 양을 먹이는 것이 좋지만 기본적으로는 아기가 먹고 싶어하는 양 만큼, 먹고 싶어하는 시간에 먹이는 것이 좋다. 아기가 만 2개월이 지나면 위의 용량이 늘어나기 때문에 밤중에 먹는 양을 줄일수 있다. 이 시기가 되면 4-5시간 정도는 안 먹을수 있으며, 3-4개월이 되면 밤중수유를 중단할수도 있다.
돌전 아기가 먹는 분유의 평균 횟수 및 분량
월령 | 수유횟수 | 수유분량 |
---|---|---|
1개월이전 | 6-10회 | 60-120ml |
1-3개월 | 5-6회 | 120-180ml |
3-7개월 | 4-5회 | 150-210ml |
7-9개월 | 4회 | 180-210ml |
9-12개월 | 3회정도 | 210-240ml |
3. 아기에게 분유 먹일 때 궁금한 점
① 분유 꼭 단계별로 먹여야 하나?
요즘 분유는 아기의 성장에 따라 단계별로 된 분유가 나오고 있어 개월수가 지나면 먹던 걸 버리고서라도 단계를 맞춰 먹이는 엄마들이 있다. 하지만 꼭 연령에 따라서 맞춰 먹일 필요는 없다. 월령별로 약간의 성분이 다를 뿐 별차이가 없다. 그러니 몸무게가 적게 나간다고 해서 굳이 다른 월령의 것을 먹을 필요도 없다. 실제로 미국의 씨밀락분유는 생후 1년동안 동일한 것을 먹인다.
② 섞여먹일까? 한가지로 먹일까?
조제분유는 소젖을 아기가 쉽게 소화할 수 있도록 가공하고 부족한 영양소를 첨가한 것으로 기본 성분은 큰 차이가 없다. 따라서 어느 회사 제품을 먹이든 아기 성장에는 큰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그러므로 그냥 한가지 제품을 먹이는 것이 좋다. 단, 분유를 바꿀때에는 대부분 큰 문제는 없지만 며칠간에 걸쳐 이전분유와 새분유를 7:3, 5:5, 3:7 등으로 비율을 조정하면서 바꾸면 좋다.
③ 두유가 분유보다 좋다?
돌 이전의 아기에게는 두유보다는 분유를 먹이는 것이 좋다. 식물성 단백질인 콩으로 만든 두유보다는 동물성 단백질인 우유로 만든 분유가 아기에게는 더 좋다. 게다가 두유에 들어 있는 칼슘이나 미네랄은 흡수 면에서 분유만 못하다. 분유에 알러지가 는 경우에 콩으로 만든 분유를 먹이는 경우가 있으나 이러한 특수한 경우를 제외한 대부분의 경우에는 분유가 더 좋다.
4. 분유 수유 자세
분유는 모유에 비해 아이와 엄마의 정서적 교류가 적다는 단점이 있다. 때문에 분유를 먹일 때에는 아이를 품에 안고 엄마의 체온을 전하며 먹여야 한다. 아이를 껴안고 눈을 보면서 어르고 속삭여준다. 먹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안정된 자세를 가지는 것이 좋은데, 넓적다리로 아이의 몸을 받치는 것이 엄마와 아이 모두에게 편안하다. 아이가 누워 있을 때 분유를 먹이면 자칫 기도로 넘어가거나 귀로 들어갈 수 있으므로 비스듬히 안고 먹여야 한다. 먹고 난 다음에는 곧바로 눕히기 보다 안고 있으면서 트림을 시켜야 한다.
'수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유수유가 엄마에게 좋은 점 (0) | 2012.12.19 |
---|---|
아기가 보내는 배고픈 신호 (0) | 2012.12.19 |
모유수유가 아기에게 좋은 점 (0) | 2012.12.14 |
쌍둥이 엄마의 모유수유 (0) | 2012.12.12 |
제왕절개를 한 경우 모유수유를 향상시키는 방법 (0) | 2012.1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