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본부는 수족구병이 26주(51.1명)이후 감소세로 전환됐는데 예전의 최고치(35.5명) 보다 높은 수준이라고 발표했다.
8월까지 유행이 예측돼 지속적 주의를 당부하고 나섰다.
수족구병 유사증상환자는 올해 26주 51.1명(외래환자 1000당)에서 27주 49.5명, 28주 45.4명, 29주(7월10일~16알) 41.0명(잠정치)으로 3주 연속 감소하고 있다.
0~6세도 46.9명(28주 51.4명)으로 줄었다.
유사증상환자가 여전히 과거 최고치(2014년 25주 35.5명) 보다 높은 수준이다.
질병관리본부는 합병증을 동반한 수족구병도 지속 보고(2016년 7월까지 10건)되고 있어 감염 예방과 확산 방지를 위해 노력해 줄 것을 거듭 강조했다.
합병증이란 수족구병으로 시작해 뇌막염, 뇌염, 폴리오양 마비 등 신경학적 합병증 소견을 보이는 경우를 말한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서울병원 소아병동 근무 간호사도 결핵 확진 (0) | 2016.08.03 |
---|---|
토요일 뚝섬한강공원 '어린이 놀이터'로 변신 (0) | 2016.07.21 |
베이비키즈몰, 에이원베이비 · 토드비 카시트 총 3종 온라인 최저가 한정 판매 (0) | 2016.07.20 |
모기에 물리지도·성접촉도 않은 간호인 감염 (0) | 2016.07.19 |
산후우울증, 산모 10명중 1명 앓아 (0) | 2016.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