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열제 종류'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13.03.19 환절기, 해열제 복용법

환절기, 해열제 복용법

2013. 3. 19. 10:36

◇ 환절기 전 어린이 해열제 구비해 놓아야


아이를 키우는 가정이라면 환절기 감기를 대비해 어린이 해열제를 가정상비약으로 준비토록 한다. 해열제는 정해진 용법과 용량을 지키면 비교적 안전한 약품으로 병원 처방 없이 약국이나 편의점을 통해 구입할 수 있다. 어린이 해열제 종류로는 시럽제, 츄어블정, 알약, 좌약 등이 있으며 아이 발육 정도 및 약 복용 성향에 따라 구분하여 선택할 수 있다. 


아이가 갑작스런 유아열감기로 힘들어할 때는 우선 준비해둔 어린이용 해열제를 먹여 아이가 열로 인해 불편하지 않도록 열을 내려준다. 계속 열이 나는 경우에는 의사 지시 없이는 3일 이상 복용하지 말고 의사의 진료를 받는 것이 좋다.




◇ 월령별 복용 가능한 해열제, 성분과 사용법 확인해야


아이는 월령에 따라 복용할 수 있는 해열제 종류와 성분이 다르다. 약을 입으로 먹이기 쉽지 않은 영유아는 좌약을 이용한다. 용변 시 변과 좌약이 같이 배출되지 않도록 가급적 배변 후에 사용한다. 종종 한번 넣은 후 열이 떨어지지 않는다며 연속해서 좌약을 넣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약 성분 과다흡수를 불러 아이에게 해로울 수 있다. 좌약은 4~6시간 간격으로 사용하며 사용 전에 반드시 설명서를 숙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이가 생후 4개월 정도 되면 어린이 타이레놀 같은 단일성분의 아세트아미노펜 해열제를 사용할 수 있다. 아세트아미노펜은 공복에 상관없이 먹일 수 있어 기습적으로 발생하는 유아열감기 해열에 유용하다. 


생후 1년부터는 이부프로펜 제제도 사용 가능하다. 다만 아이가 열과 함께 토하거나 설사, 탈수 증상을 보인다면 신장에 부담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이 때는 이부프로펜 제제를 사용을 자제하는 것이 좋다. 


또한 해열제를 먹이고 열이 안 내린다고 해 좌약이나 다른 해열제를 또 먹이는 것도 과량복용이 될 수 있으니 해열제는 월령별로 복용 가능한 성분을 한 가지만 선택해 복용 시키고, 하루 최대량을 넘지 않아야 한다.


◇ 물약은 기관지로 흐르지 않게 고개를 젖히고 먹여야


3개월 미만의 아기거나, 열이 39도가 넘을 때는 즉시 전문의 진료를 받는 것이 좋다. 이때 처방 받는 약은 가루약과 물약이 대부분으로, 물약을 먹일 때에는 기관지로 들어가지 않게 해야 한다. 눕히거나 상체를 젖히면 기관지로 물약이 넘어갈 수 있으므로 이런 자세는 피한다. 향이 나는 시럽제를 병째 아이 입에 대고 먹이는 것도 금물이다. 약이 오염될 수 있다.

  

가루약은 미지근한 물에 녹여 먹이는 것이 가장 좋다. 아이가 잘 안 먹는다면 단맛이 나는 설탕이나 요구르트를 조금만 함께 넣어 먹여보도록 한다. 단, 꿀은 안 된다. 마비를 일으키는 신경 독소 박테리아가 존재할 수 있어 특히 돌 이전의 아기에게는 절대 피한다. 또한 가루약을 우유나 주스 등과 함께 먹이는 것도 좋지 않다. 가루약에 항생제가 들어 있는 경우 약효를 저해할 수도 있다.


◇ 알약 부수거나 쪼개 복용하는 것은 절대 금물


아이에게 약을 복용시킬 때 임의로 약을 부수거나 쪼개 먹이기도 하는데 올바른 약 복용을 위해서는 형태 변형 없이 처방 받거나 구입한 정제, 캡슐, 가루, 액상 그대로 복용법에 따라 복용해야 한다. 아이에게 성인용 해열제를 쪼개어 복용시키는 것은 절대 금해야 하는데 아이의 몸은 어른과 달라 어른의 약은 아이에게 이상반응 등을 일으킬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아이에게는 반드시 어린이용 해열제를 복용시키고 몸무게에 따라 정량을 맞춰 먹이도록 한다. 알약을 잘 먹는 아이라면 입안에 물을 머금게 해 약을 먹이고, 삼키고 난 후에도 충분한 양의 물을 먹여 입안에 남아 있지 않도록 한다. 


알약 형태의 어린이 해열제는 물약처럼 옷에 흘리거나 손에 묻는 등의 번거로움이 없고 휴대가 간편해 아이와 외출 시 비상약으로 유용하다. 특히 씹어 먹기 쉬운 형태의 약은 이가 난 아이라면 물 없이도 비교적 거부감 없이 간편히 복용할 수 있어 도움이 된다. 


아이가 알약을 잘 못 먹는다면 억지로 먹이지 말고 처방을 받을 때나 구입할 때 전문가와 상의해 가루나 액상 형태의 약으로 준비하는 것이 좋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유아건강검진  (0) 2013.03.25
황사방지용 마스크 사용법  (0) 2013.03.21
3월부터 영유아 뇌수막염 예방접종이 무료  (0) 2013.03.08
신생아의 황달  (0) 2013.03.08
신생아 열감기 대처법(열내리기)  (0) 2013.01.08
:

BLOG main image
by 건강텔링

공지사항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631)
육아상식 (94)
수유 (41)
임신 (67)
이유식 (28)
질병 (42)
건강 (204)
교육 (102)
기타 (52)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글 보관함

달력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Total :
Today : Yesterda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