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옷을 벗긴다
얇은 내의 한 장도 보온 효과가 제법 크다. 아기가 고열이 날 때는 기저귀만 빼고 옷을 전부 벗긴다. 열이 심하다면 기저귀도 벗기는데, 대신 실례할 것을 대비해 헝겊 기저귀를 바닥에 깔아둔다. 미열이라면 얇고 가벼운 옷을 입히는 것은 괜찮다. 만약 아이가 추워하거나 힘들어하는 것처럼 보이면 얇은 타월을 덮어준다
2 미지근한 물로 몸을 닦는다
열이 날 때는 찬물에 적신 수건으로 몸을 닦아줘야 한다고 알고 있다. 하지만 찬 수건으로 몸을 닦거나 냉찜질을 하면 오히려 피부 혈관이 수축되어 근육에서 열이 더 발생된다. 아기의 옷을 벗긴 다음 30℃ 정도의 미지근한 물에 적신 수건으로 가슴, 배, 겨드랑이, 다리 부분을 가볍게 문지른다는 느낌으로 닦아주는 것이 원칙이다. 욕조에 미지근한 물을 채우고 아기를 잠시 넣었다 빼는 것도 방법인데 수온은 30℃ 정도가 적당하다.
3 실내 온도를 조금 낮춘다
집 안의 온도가 약간 서늘해야 열 내리기에 좋다. 1~2시간 간격으로 창문을 열고 환기를 시키면서 실내 공기를 깨끗하게 유지한다. 실내 온도는 22~23℃ 정도를 유지한다.
4 물을 자주 먹이며 수분 공급에 신경 쓴다
몸에 열이 나면 수분이 금세 빠져나간다. 따라서 수시로 따뜻한 보리차를 먹이며 수분을 보충해야 한다. 찬물보다는 미지근한 보리차를 조금씩 자주 먹이는 것이 좋다. 수분을 충분히 공급 하면 땀과 소변으로 열이 빠져나가는 효과도 있다.
5 37.5℃가 넘는다면 해열제를 사용할 타이밍
신생아에게 해열제를 사용할 때는 신중해야 한다. 열이 나는 게 무조건 나쁜 것만은 아니기 때문이다. 열은 우리 몸이 질병과 싸워 이기기 위해 신체 기능을 활발하게 하고자 몸에 시동을 거는 것이다. 따라서 무조건 빠른 시간 안에 정상 체온으로 떨어뜨리기 위해 해열제를 남용해선 안된다. 다만 열이 38℃ 전후로 오른다면 해열제를 먹여야 하는 타이밍. 해열제를 사용하면 1~1.5℃ 정도 열을 떨어뜨릴 수 있다. 단, 아무리 안전한 해열제라 하더라도 정량을 지키고, 신생아에게는 반드시 전문의와 상담한 뒤 사용한다. 약의 성분과 아기의 월령에 따라 해열제의 용법이 제각각 다르기 때문. 가급적 아스피린은 먹이지 않아야 하며, 열을 내리겠다는 욕심으로 해열 좌약과 먹는 약을 동시에 사용하는 것도 절대 금물이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3월부터 영유아 뇌수막염 예방접종이 무료 (0) | 2013.03.08 |
---|---|
신생아의 황달 (0) | 2013.03.08 |
신생아 코감기 대처법 (0) | 2013.01.08 |
아이 피부에 유해한 성분 (0) | 2013.01.04 |
폐구균 백신 (0) | 2012.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