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 중 잇몸에 염증이나 충치가 생기기 쉬운 것은 사실입니다.
임신중에는 여성호르몬 에스트로겐이 증가해 잇몸의 혈관벽이 얇아지는데 여기에 입안의 환경이 불량하여 치석이나 치태가 잇몸에 끼면 쉽게 염증이 생기는 것입니다.
즉 얇아진 혈관을 치석이나 치태가 자극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임신이 반드시 잇몸의 염증이나 충치를 일으킨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오히려 임신 중 몸의 거동이 쉽지 않고 쉬 피로해지며 정서적으로 안정이 되지 않아 양치를 제대로 못했을 때 생기는 치석이나 치태가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임신 초기 입덧으로 인해 칫솔질이 소홀하게 되면 잇몸질환이 증가하게 됩니다.
또 임신 중에는 호르몬의 변화와 함께 입안이 약한 산성으로 변하는 경향이 있어 충치가 생기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구강청결에 소홀하지 않는 것이 임신중 충치발생의 예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태내 아기의 치아는 이미 5~7주 사이면 생기기 시작합니다.
3개월이 되면 엄마가 섭취하는 영양분으로 치아가 단단해집니다.
따라서 임신초기부터 우유류 생선류 과일과 채소류 곡류와 빵 등을 포함하는 균형있는 식사를 해 치아와 골조직의 형성에 필요한 칼슘 인 비타민 등을 충분히 섭취해야 합니다.
임신중 치과치료는 국소마취제 등 약제가 문제되는 것이 아닙니다.
치과치료에 대한 공포가 문제가 되므로 이것만 유의하면 치료받는데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공포가 심한 사람일 경우 임신초기보다 말기가 더 안전합니다.
잇몸관리 등은 임신 중 더욱 신경써서 치료받아야 하며 충치나 신경치료 등도 주의해서 시술하면 별 문제없습니다.
임신중 일부의 항생제를 복용하는 것은 아기의 치아를 어두운 회색이나 노란색으로 착생시킬 수 있으므로 약물복용이나 장기사용할 때는 신중을 기해야 합니다.
'임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신 중 감기에 걸렸을 때 감기약 복용해도 되나요? (0) | 2013.11.25 |
---|---|
조기교육보다 가치있는 태교 (0) | 2013.11.05 |
나도 혹시 임신 비만 (0) | 2013.09.30 |
[임신전]기형 유발 약물 (0) | 2013.09.03 |
태아의 성별 (0) | 2013.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