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요법'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14.02.28 소아 당뇨병

소아 당뇨병

2014. 2. 28. 17:15

췌장에 있는 랑겔함스섬이라는 세포에서 충분한 양의 인슐린을 생산하지 못하여 탄수화물 대사에 변화가 오게 됩니다.


소아당뇨병은 소아기에 발생한다는 사실 이외에도 그 발생기전, 발생율, 임상증상, 합병증, 치료 등에 있어 성인 당뇨병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점이 많다.


당뇨병은 우리 몸안에서 혈당(혈중의 포도당)을 조절하는, 췌장에서 분비되는 인슐린이라는 호르몬이 부족하거나 혹은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해 혈당의 농도가 높아져서 소변으로 포도당이 넘쳐 배설되는 질환으로 탄수화물, 지방 및 단백질대사의 장애를 동반하는 에너지대사 증후군이다.


소아당뇨병은 성별 및 사회적계층과 관계없이 발생하며 연령적으로 5~7세와 사춘기에 호발하는데 이는 감염, 성선호르몬, 및 정서장애와 관련이 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당뇨병의 발생에는 유전적 요인의 관련이 확실하나 일정한 유전양식은 아직까지 알려진 바가 없으며 소아당뇨병은 성인 당뇨병에 비해 유전적 요인이 덜 관련되어 발생한다.


소아 당뇨병은 당뇨병을 유발하기 쉬운 유전인자를 가지고 태어난 유전적 소인, 자기 췌장에 대한 자기면역항체를 가지는 자가면역요인 및 볼거리 같은 바이러스감염 등의 요인이 합쳐져서 결국에는 췌장이 파괴되고 이로인해 분비되는 인슐린생산량이 절대적으로 부족하여 발병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므로 한가지 원인에 의해서가 아니고 가능성이 있는 체질에 바이러스감염으로 자가면역항체가 생겨 췌장도세포가 파괴되는 복합적요인에 의해 발생한다.


당뇨병은 갑작스럽게 시작되는 것이 보통이며, 급성으로 오는 합병증에는 산이 체내에 축적되어 산독증이 생기고, 만성으로 오는 합병증에는 동맥경화, 신장 기능 감소, 시력장애 등이 있습니다.


소아 당뇨병의 임상증상은 다양하지만 제일 흔한 전형적 증상은 성인에서와 같이 소변을 많이 보는 다뇨(多尿), 음식을 많이 먹는 다식(多食), 갈증을 많이 느껴 수분을 많이 섭취하는 다음(多飮) 즉 3다(多)이다.


인슐린의 부족으로 섭취한 음식물이 체내에서 이용되지 못하므로 혈중에 당농도가 높아져서 갈증을 느끼게 되고 체내에서의 수분요구량도 증가하므로 수분을 많이 섭취하려는 갈증을 더 심하게 나타낸다. 


또 갈증으로 인해 수분을 많이 섭취하게 되므로 소변의 배설량이 증가하고 또 소변내에 당이 있으면 물리학적 이유로 소변량을 증가시키게 되므로 소변을 자주 많이 보게 되며 특히 밤에도 깨어 소변을 보게 된다.


이외에 환아는 피로한 감을 느끼게 되고 모든 일에 싫증을 느끼며 의욕이 없고 무기력해지는 전신쇠약증세를 보이는 경우도 있다. 

또 세균에 대한 저항력이 약해져 감염을 잘 일으키는데 호흡기 감염, 요로감염, 피부감염 등이 잘 발생한다. 

이러한 감염은 일단 발생하면 정상아보다 치료가 잘 되지 않는 경향이 있다. 

피부감염으로는 종기 및 생식기부위 피부감염 등이 있는데 10대 여아에서는 캔디다성질염을 일으켜 음부소양증을 보이는 경우도 있다. 

이 외에 호흡기감염으로는 기관지염, 폐결핵 등이 올 수 있다.


소아 당뇨병의 치료는 인슐린요법, 식사요법, 운동요법 및 심리요법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소아 당뇨병은 대부분이 인슐린의존성 당뇨병이므로 모두가 인슐린요법이 반드시 필요하다. 

즉 인슐린요법이 가장 중요한 치료방법이다. 

인슐린투여량은 대사이상 상태에 따라 다르지만 시초량은 1일 체중 kg당 0.5unit이다. 

이중 2/3는 중간형 인슐린(NPH 인슐린, 모노타드 인슐린, 인슐라타드 등)으로 1/3은 속효성 인슐린(레귤라 인슐린, 악트라피드, 베로슐린, 모노슐린 등)으로 조반 30분전에 1회 주사한다. 

1회주사로 계속 공복시 혈당이 높을 때는 조반전과 저녁식사전에 2:1비율로 2회 나누어 주사한다.


인슐린을 많이 주사하면 혈당이 떨어지게 되며 또 식사를 정해진 시간에 하지 않거나 불충분하게 먹었을 때, 심한 운동후에 혈당이 떨어지게 된다. 

어린이들은 쉽게 저혈당에 빠지는데 이때 증상으로는 안색이 창백해지고 진땀을 흘리며 주의력이 산만해지고 머리가 아프고 화를 내거나 울고 신경질적이며 온몸이 나른해지고 손발이 떨리고 몹시 배가 고프고 졸리거나 어지러우면서 심하면 의식을 잃게 되고 경련이 나타난다.

어린이에게는 언제나 사탕 3~4개 혹은 카라멜 4~5개를 휴대케 하여 저혈당증세 중 하나라도 나타날 경우 즉시 먹도록 하거나 설탕물, 콜라, 사이다, 쥬스 등을 반컵정도 마시도록 해야 한다.


인슐린요법을 시행하더라도 매일 식사요법과 운동요법을 반드시 병행 하는 것이 당뇨병의 상태를 악화시키지 않는데 중요하다.


소아 당뇨병에서 식사요법은 성장에 필요한 영양성분과 칼로리를 공급해야 하며 당질의 섭취를 줄이고 지방을 식물성 지방은 많이 섭취하고 동물성 지방은 줄이며 칼슘, 비타민을 충분히 공급하도록 한다. 

총칼로리의 55%는 탄수화물, 30%는 지방, 15%는 단백질이 되도록 하며, 탄수화물의 70%는 녹말류로 섭취하도록 한다. 

즉 밥, 빵, 사탕 등은 적게 먹고 고기, 생선, 야채는 많이 먹이는 것이다.


소아 당뇨병의 합병증은 성인과 다른데, 소아는 신체적, 정신적으로 성장과 발달을 계속하는 시기이므로 대사질환인 당뇨병이 잘 조절되지 않으면 성장장애로 인한 저신장, 사춘기의 출현지연, 정서장애, 골밀도 감소증 및 관절 특히 수지관절운동이상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질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두  (0) 2014.06.12
소아 야뇨증  (0) 2014.04.09
아토피 피부염  (0) 2014.02.27
‘소아뇌졸중’ 모야모야병  (0) 2013.12.23
어린이 3일이상 고열 지속시 가와사키병 의심해 봐야!  (0) 2013.08.28
:

BLOG main image
by 건강텔링

공지사항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631)
육아상식 (94)
수유 (41)
임신 (67)
이유식 (28)
질병 (42)
건강 (204)
교육 (102)
기타 (52)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글 보관함

달력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Total :
Today : Yesterda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