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시는 말 그대로 시력이 약하다는 뜻이다. 시신경이나 망막에 이상이 없는데도 안경을 썼을 때 시력이 교정되지 않는 시력장애를 보인다. 약시는 원시나 난시 등 굴절이상, 부등시(짝눈), 선천성 백내장, 사시, 안검하수 등이며, 시각 이미지를 받아들이는 신경 경로의 발달이 덜 돼 생긴다고 보면 된다.
약시는 안구의 구조적, 기질적 이상 없이 발생하는 한 눈 또는 두 눈의 시력저하를 말한다. 안경으로 교정해도 정상 시력이 나오지 않으며, 한 눈의 최대 교정시력이 자기 나이의 정상시력보다 0.2이상 낮거나, 양 눈의 교정시력 차이가 두 줄 이상 나는 경우가 바로 약시에 해당한다.
약시 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치료 시작 시기다. 대한안과학회가 국내 주요 대학병원 9곳을 내원한 어린이 약시환자 222명을 대상으로 치료 시작 시기와 완치 비율을 비교 분석한 결과, 만 4세부터 치료를 시작한 군의 완치율이 95%에 달했다. 반면, 만 8세에 치료를 시작한 군은 23%만이 완치됐다. 이는 약시 치료에 있어 조기 발견 및 치료가 얼마나 중요한지 여실히 보여주는 예다.
대표적인 약시 치료방법으로는 정밀 굴절도 검사를 통해 환아에게 꼭 맞는 안경을 착용함으로써 시력을 교정하는 것이 기본이다. 건강한 눈을 가려서 약시 안으로만 물체를 보게 하는 가침 치료를 이용하여 시력을 증진시키는 방법을 주로 사용한다. 이를 통해 양쪽 눈의 시력균형을 맞출 수 있다. 부등시는 자기도 모르게 시력이 좋은 한쪽 눈만 사용하는 것으로 이로 인해 약시가 발생 하였을 경우 치료한다.
그런데 약시는 한쪽 눈의 시력이 정상인 경우에는 아무런 증상을 호소하지 않기 때문에 늦게 발견돼 치료가 어려운 경우가 빈번하다. 만 3~4세 경 아이가 숫자나 그림을 이야기할 수 있게 되면 시력검사를 시행해 보는 것이 좋다. 만 6~7세 이후에 발견되는 경우 시력이 고착돼 호전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어린이 안종합검진을 통해 조기 발견 및 치료가 관건이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아의 말이 늦은 이유 (0) | 2013.05.27 |
---|---|
아토피 증상을 달래주는 올바른 목욕법 (0) | 2013.05.23 |
집먼지 진드기의 습격, 알레르기 질환 ‘주의’ (0) | 2013.05.21 |
설사 (0) | 2013.05.13 |
병원별로 다른 어린이 엑스레이 환자선량, 권고기준 마련! (0) | 2013.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