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한 일을 칭찬'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13.05.27 긍정적인 아이로 기르기

1. 즐거운 가정을 만듭시다. 

아이에게 긍정적인 감정을 갖게 하려면 가정과 학교 생활을 즐겁게 느께게 하는 것 만큼 좋은 것은 없습니다. 

부모와 선생님은 아이가 이런 느낌을 형성하는 데에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아이들에게는 어느 정도 자유로움을 느끼면서도, 그 가운데 생활상의 규칙이 분명히 있는 그런 가정이나 학교에서 살아가고 있다고 느끼게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아이들도 이런 규칙을 만드는 데 동참케 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렇게 함으로써 아이들은 규칙을 보다 더 존중할 수 있으며, 그 규칙에 맞는 생활을 하려고 보다 더 노력할 것입니다. 

만약 자신이 정당한 대우를 받고 있으며 자신이 존중받고 있다고 느낀다면, 아이들은 훨씬 편안하고 안정된 느낌을 갖게 됩니다. 


2. 난 할 수 있어 

어린 시절을 잘 보낸 아이가 학교에 갓 입학해서도 잘 지냅니다. 

아이가 '난 할 수 있어.' 하고 느껴야 합니다. 자신에 대해 신뢰할 수 있는 아이라면, 배우는 것을 더 좋아하게 될 것입니다. 

자신은 매사에 서투르기만 하는 는 생각을 갖고 학교 생활을 시작한다면, 

그것은 아이 의 성장에 커다란 장애요인이 됩니다. 글을 읽고 쓰기 시작할 때, 아이는 자신이 뭔가 중요한 사람이라는 느낌을 가질 수 있어야 합니다. 하지만 아이들은 읽고 쓰는 방법을 배울 준비를 갖추고 있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6살 난 아이라고 해서 모두 글 읽을 준비가 되어 있는 것은 아니니까요. 

아이들은 저마다 다 다르고, 배우는 속도도 같을 수 없지요. 

이때 만약 가정이나 학교 가 자신을 밀어내고 있다거나 자신과는 반대된다고 느끼게 되면 배움에 문제가 생길 것입니다. 

그러므로 아이를 위한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목표를 세워야합니다. 

억압을 준다거나 다른 아이와 비교하지 말고, 아이로 하여금 자신을 계발할 기회를 줘보십시오. 

그러면 아이는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갖게 될 것입니다. 

아이가 무슨 일을 할 수 없다고 느낄 때 용기를 북돋아주어, 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느낌을 갖도록 도와주십시오. 

이렇게 말해줄 수 있겠지요. "그래, 넌 할 수 있어. 자, 내가 도와줄께." 


3. 아이가 하는 일에 관심을 기울여주세요 

"엄마, 이것 좀 보세요." 아이가 이렇게 말할 때 여러분은 어떻게 합니까? 

그럴 때 제발 "너 이것밖에 못하니?" 하고 말하지 마십시오. "대관절 빨간색 소가 어디있니?" 하지 마십시오. 

"양말을 한 짝은 빨강, 다른 한 짝은 파랑으로 칠하는 사람이 어딨니?" 하는 말은 금물입니다. 

자신이 한 일에 대해 자부심을 느낄 수 있게끔 아이들 기를 살려주세요. 

그러면 틀림 없이 자시이 한 것을 자랑스럽게 부모에게 보여 줄 것입니다. 그럴 때는 이렇게 말하면 더 좋겠지요. 

"그래, 참 멋지구나. 우선 할머니께 보여드리자. 다음에 네 방에다 걸어놓는게 좋겠는 데." 


4. 칭찬해주세요 

등을 토닥거려주세요. 미소를 보내주세요. 아이를 즐겁게 하고 자신감을 심어 줄 수 있는 말을 수시로 해주세요. 

아이를 칭찬해줌으로써 아이에게 '긍정적인 느낌' 을 갖게 할 수가 있지요.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아무때나 칭찬을 해주어서는 안되지요. 

반드시 칭찬받을 만한 일을 했을 때 칭찬해야 합니다. 

시도 때도 없이 칭찬을 해주면 아이는 부모의 말이 진심이 아니라, 그저 건성으로 하는 말이라고 생각하게 될 테니 까요. 

그렇게 되면 무언가를 해보려는 아이의 의지를 꺾어놓을지도 모릅니다. 

또한 칭찬하되, 아이를 칭찬하기보다는 아이가 한 일을 칭찬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야, 네 방이 참 예쁘게 정돈돼 있구나." "엄마 일을 도와주니 참 착하구나." 

"보람아, 엄마가 아줌마랑 얘기하는 동안 가만히 있어서 참 예쁘구나." 


5. 내가 할 수 있어요 

"내가 할게요." 대부분의 경우 아이에게 시키느니 엄마 혼자 해버리는 편이 훨씬 수월하지요. 

나이에 따라 아이들이 하고 싶어하는 일이 있습니다. 그럴 땐 한번 해보게 하세요. 

그리고 아이에게 알맞은 책임을 맡겨보십시오. 

아이는 자기에게 주어진 문제를 끙끙거리며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 배우게 됩니다. 

그러니 아이가 몇가지를 결정해가면서 일할 수 있는 기회를 주어야 합니다. 

이런 식으 로 하다 보면 아이는 자신감을 가질 수 있게 됩니다. 

아이에게 스스로 해볼 수 있는 기회를 주십시오. 

다만, 다른 사람을 다치게 한다거나, 위험할 때, 무언가 부서질 위험이 있을 때에만 제지하십시오.

:

BLOG main image
by 건강텔링

공지사항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631)
육아상식 (94)
수유 (41)
임신 (67)
이유식 (28)
질병 (42)
건강 (204)
교육 (102)
기타 (52)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글 보관함

달력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Total :
Today : Yesterda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