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선'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13.09.03 [임신전]기형 유발 약물

태아가 성장하는데 있어서 약물의 기형 유발 효과는 주로 노출 당시의 임신 진행 기간에 따라 달라집니다. 즉, 태아가 기형을 유발하는 약물에 노출되었을 때 일어날 수 있는 결과는 임신 중 어느 시기에 복용하였느냐에 따라 달라집니다. 약물이 유발할 수 있는 심각한 결과는 자연유산, 선천성 기형, 생화학적 장애, 정신운동장애, 성장장애, 지능과 행동의 이상, 태아의 사망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 기형유발에 영향을 주는 요소


1. 임신 중 약물을 복용한 시기 : 가장 형태학적 결손이 많이 나타나는 시기는 기관이 형성되는 시기인데, 이 시기는 마지막 생리로부터 4주에서 10주가 되는 시기입니다.


2. 약물의 양 : 태아들은 대부분 적은 양의 약에는 견딜 수 있지만, 그 농도가 수치를 넘어서면 교정될 수 없는 변화가 생깁니다.


3. 유전적 경향과 환경적 요소는 약물 노출과 관련하여 태아의 발육에 영향을 줍니다.


4. 약물의 종류와 그 결과로 인한 약물의 태반 통과 정도: 어떤 약은 태반을 훨씬 잘 통과하기 때문에 비교적 소량으로도 태아에게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이미 알려져 있는 기형 유발 약물


명확하게 임신에 나쁜 영향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진 약은 매우 극소수입니다.


여드름 약물 : 비타민 A 유도체(이소트레티노인과 에트레티네이트 등)와 같은 약물은 주요 기형 유발 원인이므로 믿을만한 피임이 보증 되지 않는 한 가임기 여성은 복용하면 안 됩니다.


- 알콜 : 엄마의 과도한 음주는 태아 알콜 증후군이라고 분류되는 장애의 범위와 연관되어 있습니다. 소량의 음주도 유산이나 유아의 발육과 행동장애와 연관되어 있습니다. 태아에게 안전한 음주 수준은 아직 확인 되지 않고 있습니다.


- 안드로젠(테스토스테론 같은 남성 호르몬) : 임신 동안에 복용 시 테스토스테론은 여자 태아의 외부생식기의 남성화를 초래할 수도 있습니다.


- 항생제 : 테트라싸이클린, 독시싸이클린, 스트렙토마이신


- 항응고제 : 임신초기에 와파린의 복용은 여러 가지 기형과 관련되어 있는데 이중에서 코의 형성부전과, 골단의 이상이 가장 흔합니다. 헤파린은 태반을 통과하지 않기 때문에 안전하게 사용 할 수 있습니다.


- 항경련제 : 카바마제핀과 페니토인은 두개안면의 소기형과 손톱 형성부전, 성장 지연(태 아 하이단토인 증후군)과 연관이 있습니다. 수정 후 1달 내에 발프로익 산에의 노출되면 1-2%에서 신경관 개존증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항고혈압제 :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라 불리는 항고혈압제는 태아와 신생아의 사망 과 특히 신경 손상과 같은 질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항암제 : 항암제는 기형유발의 높은 위험률을 갖고 있습니다. 아미노프테린, 부설판, 싸이클로포스파마이드, 메쏘트리쎄이트는 선천성 기형과 연관이 있습니다.


- 화학요법 약물 : 예) 메쏘트리쎄이트


- 다이에틸스틸베스트롤(DES) : DES는 여자 아이에서 질암, 질선종, 자궁과 자궁경부 기형 과 남자 아이에서의 생식기 기형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리튬 : 임신 초반부의 사용은 특히 심혈관계의 선천성 결손 발생 증가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유기수은


- 방사선 : 방사선은 많은 양에 노출되었을 때(암 치료 등을 위하여) 태아의 기형이나 태아 성장에 영향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진단용 X레이(흉부 X레이, 뼈 X레이, 신장, 장 촬영 등)는 태아에 영향을 줄 정도로 많은 양이 아니기 때문에 거의 영향이 없습니다.


◆ 행동 장애 기형유발 약물


중추신경계에 영향을 미치는 기형 유발 원인으로 증명된 약물들은 자궁 내에서 기형을 일으킬 만한 양보다 적게 노출되었다 하더라도 행동학적 이상을 일으킬 수 있다고 합니다. 태아가 행동학적 독성에 민감한 시기는 중추신경계의 성장과 발육이 임신 전반에 걸쳐 일어나기 때문에, 구조적 기형이 일어나는 시기보다 길다고 할 수 있습니다. 모든 중추신경계 작용 약물들은 행동학적 장애를 일으키는 강력한 결정 요소로 여겨져야 합니다.


◆ 그 외 나쁜 영향을 줄 수 있는 것들 


임신 중반과 후반 동안에 사용되는 약물이 태아에 미치는 작용은 약물의 양과 치료기간, 약의 특성에 영향을 받습니다. 에탄올과 벤조다이아제핀, 아편이 지속적으로 자궁 내에 노출이 되면 신생아에게 있어서 의존성과 금단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고 합니다.

'임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신중 잇몸 염증  (0) 2013.11.01
나도 혹시 임신 비만  (0) 2013.09.30
태아의 성별  (0) 2013.08.23
자가 임신 진단  (0) 2013.08.22
임신 판별 검사  (0) 2013.08.21
:

BLOG main image
by 건강텔링

공지사항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631)
육아상식 (94)
수유 (41)
임신 (67)
이유식 (28)
질병 (42)
건강 (204)
교육 (102)
기타 (52)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글 보관함

달력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Total :
Today : Yesterda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