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조숙증이란?
성조숙증은 제2차 성징의 출현이 여아에서 8세, 남아에서 9세 이전에 나타나는 경우로, 여아에서 훨씬 흔하게 보입니다.
이러한 성조숙증은 시상 하부-뇌하수체 기능의 조기 발동 여부에 따라 완전 성조숙증과 불완전 성조숙증으로 크게 나눌 수 있습니다.
[완전 성조숙증]
특발성 성조숙증은 기질적인 병변없이 제2차 성징이 나타나는 경우로 대부분 산발적으로 발생하는데 여아에서 더 흔하며, 완전 성조숙증의 90%를 차지합니다.
항상 여성이면 여성, 남성이면 남성으로 동성 성조숙증을 나타내고, 남아에서는 고환 크기의 증가, 여아에서는 유 방 크기의 증가가 첫 증상입니다.
그 외에 남아에서는 음경 비대, 음모 출현, 여아에서는 음모 출현, 질 출혈 등의 제2차 성징의 증상들을 보이며, 빠른 성장 속도 및 골 성숙을 보이나 조기에 뼈의 성장을 담당하는 골단이 융합을 일으켜, 결국 성인이 되면 저신장증을 보이게됩니다.
시상 하부와 뇌하수체의 기질적인 병변에 의해 나타나는 성조숙증은 남아에서 더 흔히 보이며, 대부분이 종양에 의해 발생된다고 합니다.
종양 이외에는 뇌염, 두개 내 농양, 골육종증, 뇌 손상, 뇌수종 등이 원인이 되며, 이 때에는 성조숙증과 함께 간질이나 지능 저하가 함께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 외에 갑상선 기능 저하증에 의해서도 성조숙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불완전 성조숙증]
남아의 경우에는 여성 호르몬이 과다하게 나오는 경우, 부신 혹은 고환 성선 호르몬이 과다하게 분비되는 경우에 발생하는데, 주로 종양이나 효소 결핍에 의한 증상이 대부분입니 다.
반면 여아의 경우에는 과도한 에스트로겐의 분비에 의해 나타나는데, 마찬가지로 인위적인 약물 또는 음식물의 섭취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사춘기 발달의 변이 형태]
가장 대표적인 것이 유방 조기 발육증으로 3세 전후의 여아에서 흔하고, 보통은 양측성으로 나타나며, 대부분은 수 개월-2년 안에 완전히 없어지게 됩니다.
원인은 잘 모르나 성선 자극 호르몬의 일시적인 과다 분비로 인한 에스트로겐의 증가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 하고 있습니다.
그 외에 성모 조기 발생증이나 초경 조기 발생증, 청소년기 여성형 유방 등이 있습니다.
[성조숙증의 치료]
치료의 목표는 제2차 성징을 정지 또는 소멸시키고, 혈중 호르몬의 농도를 사춘기 이전에 맞게 낮추며, 골성숙의 진행을 늦추어서 정상 성인의 키를 갖게 하고, 행동 장애를 없애는 데에 있습니다.
즉 원인이 되는 종양 등을 제거하며, 알맞은 약물을 투여하여 치료에 임해야합니다.